오염수 북태평양 환류 따라 시계방향으로 흘러가
최춘식 의원 "한일양국간 문제서 범세계적 문제"
바드칼리지 부총장 "타 국가들 바다 투기 선례"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STOP, Japans Fukushima Nuclear! Waste Water!', 후쿠시마 오염수가 우리나라보다는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대륙으로 먼저 도착하고,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삼중수소 농도가 더 높은 것이라는 발언이 나왔다.
21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장에서 최춘식 의원은 후쿠시마 원전처리수가 북태평양 환류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흘러 우리나라보다 미국과 캐나다 서해 안쪽 바다에 먼저 도달한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최 의원은 이 같은 사실을 해양수산부가 제출한 문건을 통해 밝혔다. 국내외 여론적으로 뜨거운 방류된 원전처리수의 삼중수소 농도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및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시뮬레이션 결과, 우리 해역보다는 캐나다와 미국의 서측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최 의원은 "원전처리수 문제는 한일양국간의 문제를 떠나서 범세계적인 문제"라며 "미국 등 해외에서 국제원자력기구의 검증 체계를 신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발언이 나오자. 오염수 방류 반대 입장을 펴온 환경시민사회단체는 "삼중수소 농도는 물론 다른 핵종까지 반감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축적된 농도를 불가피하게 해양생태계와 먹이사슬의 최종 목적지인 사람들에게 그대로 흡수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정부는 이 부분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국회 환노위 소속 이수진, 강은미 의원과 이용선 의원 등 시민사회단체 일행은 9월 16~18일 뉴욕 맨해튼 일본 영사관 앞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 촉구' 집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김영철 전국어민총연맹 위원장은 "일본정부의 핵폐수 투기로 한국어민의 피해는 이미 시작됐다."며 "인류공동의 바다가 방사능으로 신음하지 않도록 국제사회가 노력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용선 의원은 "원전오염수 해양투기의 근거가 된 IAEA의 검증평가는 정화장치 성능검증과 시료검증 정합성이 부재한 엉터리 검증이었다."며 "일 정부는 쓰리마일, 필그림, 인디언포인트 등의 사고 대응을 참고해 해양투기보다 더 안전한 원전오염수 처리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수진 의원(비례)은 "뉴욕 허드슨강에 폐원전 오염수 방류를 금지한 뉴욕주의 사례를 참고해, 이웃인 뉴저지주를 비롯한 미국의 주정부, 연방정부 차원에서 일본의 사고 폐원전 오염수 문제에 적극 대응해줄 것을 미국 정치인들에게 제안했다."며 이번 방문을 통한 성과를 전하며 미국 정치권의 역할을 촉구했다.

김춘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평화롭다는 뜻을 가진 태평양(pacific)에 야만의 핵폐수가 흐르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미국 현지 지역의원, 연방의원, 주지사, 대통령, UN 및 관련 기관들이 일본 해양투기에 반대하도록 전세계 모든 단위에서 시민 촛불을 조직"할 것을 제안했다.
기후정책전문가인 이븐 구스타인(Eban Goodstein) 뉴욕 바드칼리지 부총장은 "일본은 다른 국가들이 바다를 핵폐수 투기장으로 사용하는 위험한 선례를 만들고 있다"며 바이든 정부가 일본의 원전오염수 해양방류라는 환경범죄에 맞서 중단을 강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강변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