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평균치 비해 15.4%인 4㎍/m3 감소(26 → 22㎍/m3)
내년에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중지 효과 지속 조사 계획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문재인 정부의 환경정책 3대 과제중 하나인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만이 답이다.'라는 방침에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환경부(장관 김은경)를 비롯,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진원)이 6월 한 달간 전국 8기의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4기, 경남 2기, 강원 2기)를 가동중단한 결과,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미세먼지 농도 개선효과가 있었다고 발표했다.
우선 충남지역 40개 지점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실측한 결과 이번 가동 중단기간의 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 6월 평균치와 2016년 6월 평균치 비해 15.4%인 4㎍/m3이 감소(26 → 22㎍/m3)했다.
한편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에 따른 저감효과는 실측한 결과보다는 낮은 1.1%인 0.3㎍/㎥으로 나타났다.
![]()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NASA와 공동으로 한반도 대기질 공동조사 연구를 발표했다. 국민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 발원지는 약 40%가 중국으로부터 날아온다고 밝혔다. 문제는 나머지 60%가 국내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자동차, 공장에서 뿜어져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다만 최대영향지점(보령화력에서 약 30km 떨어진 지점)에서 월평균 3.3%, 일 최대 8.6%, 시간 최대 9.5㎍/㎥ 감소 등으로 개선됐다.
배출량 저감은 가동중지된 충남 화력발전(보령·서천, 4기)의 국가 배출량 자료와 실시간 굴뚝원격감시시스템(TMS)의 측정 자료를 활용했으며 직접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2차 생성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전구물질(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분석했다.
분석 결과 충남 보령·서천 화력발전소(4기) 가동중단으로 141톤의 미세먼지 저감, 전국 8기의 가동중단으로 304톤의 미세먼지가 줄었다.
올 6월 전체 석탄발전소(53기) 미세먼지 배출량인 1975톤의 약 15%에 해당하는 양이다.(`17년 6월 예상배출량 대비 22% 수준)
충남지역 대기 중의 농도측정은 반경 70km 내에 측정망, 측정차량, 간이측정기를 활용해 40개 지점에서 진행됐다.
![]() |
▲7월초 주한유럽연합 주최로 열린 EU게이트웨이에서 오스트리아, 독일, 벨기에 등 국가에서 선보인 초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기술 을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주최측은 유럽 미세먼지 저감 등 포집 기술력은 우리보다 10년 앞서는 것으로 밝히고, 국내 고속도로, 발 전소 주변, 학교 등에 설치하는 것도 미세먼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환경부가 관리하는 국가 및 지자체측정망은 모두 11개소, 발전소 측정망 9개소, 측정차량 5개소, 간이측정기 15개소다.
미세먼지 농도 변화는 2015년 6월, 2016년 6월 평균 대비 4㎍/m3(26 → 22㎍/m3) 감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6월의 경우, 강수일수와 평균풍속 등의 기상요인은 예년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풍향 등의 기상요인과 외부오염물질 유입은 예년에 비해 유리한 조건이 형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3년간(2013년, 2014년, 2016년)의 6월 기상조건을 반영, 노후 화력발전소의 정상가동시와 미가동시 배출량 차이와 대기질을 모델링(BFM기법 적용)했다.
모델링 결과 노후발전소 가동중단 기간에 충남지역 미세먼지는 0.3㎍/㎥(1.1%↓), 최대영향지점의 미세먼지 농도 감소는 월평균 오염도 0.8㎍/㎥(3.3%↓), 일 최대 3.4㎍/㎥(8.6%↓), 시간 최대 9.5㎍/㎥(14.1%↓)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선효과는 미세먼지 1차 배출 감소(4%)보다는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에 의한 2차 생성 미세먼지 감소(96%)에 주로 기인했다.
미세먼지 측정결과와 대기 모델링을 종합한 결과, 충남지역의 미세먼지는 월평균 4㎍/m3 감소했는데 이 중 노후발전소 가동중지 효과는 0.3㎍/㎥이며 나머지 3.7㎍/㎥은 다른 오염원의 영향 감소, 국지적 기상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월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고 특히 인체 위해성 관점에서 중요한 단기간 감소효과는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분석(일 최대 3.4㎍/㎥↓, 시간 최대 9.5㎍/㎥↓)됐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9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결과 미세먼지(PM2.5)가 평상 시 대비 10㎍/㎥ 높아지면 사망률은 전연령 0.8%, 65세 이상 등 취약군은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한 달간의 조사결과를 앞으로의 석탄화력발전소 정책결정에 활용할 계획이며 내년에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중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노후 석탄화력발전의 가동중단은 미세먼지의 단기간 고농도 사례를 관리하는데 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Brute Force Method는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 시 배출량을 입력한 결과와 미가동시 배출량을 입력한 결과를 비교·분석하는 기법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