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의 평균 급식 인원 100~140명 달해
1일, 고양교육청서 학교비정규직 집회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못살겠다! 급식실 인원 충원하라!"
9월 1일, 고양교육지원청 앞에서 70명의 학교비정규직조합원들이 모였다.
이들은 "골병들어 죽겠다, 급식실 배치기준 하향하라", "공공기관 배치기준 2배, 노동강도 2배, 학교 급식실 배치기준 하향하라" 학교 급식 노동자들이 외쳤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고양지회가 1일 고양교육지원청 앞에서 학교급식 노동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호소했다.
이들이 주장한 내용은 1명당 100명이 넘는 급식인원을 담당하며 고강도의 노동에 시달리다 못해 모였다고 주장했다.
이 자리에서 윤행연 지회장은 "학교 급식 메뉴도 복잡해지고 위생 기준도 더 까다로워져 일하는 시간과 양은 늘었지만, 정작 같이 따라줘야 할 학교 급식실 인원 배치기준은 20여년 전 그대로"라고 개선을 촉구했다.
윤 지회장은 "학교 급식노동자의 인력을 늘려야 아이들이 먹는 급식에 대한 충분한 식자재 관리와 조리, 위생까지도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주장처럼 학교 급식실 현실은 냉혹하다. 공공기관의 평균 1인당 급식인원은 평균 50~70명인 반면, 학교의 평균 급식 인원은 100~140명에 달한다.

그동안 학교비정규직 조합원 경기지부와 경기도교육청이 학교 급식실 배치기준 관련 협의를 진행했으나 여전히 증원 계획이 없는 상황이다.
학교 급식실 노동자로 참여한 진보당 고양시지역위원회 전민선 위원장은 "학교급식실현장에서 실제 일하는 노동자로서 현장에서 일해보면 얼마나 배치기준문제가 절실한지 알 수 있다."며 "코로나로 2,3차 배식까지 더 과중한 노동을 하고 있지만 배치기준이나 인력충원없이 급식노동자에게만 다 감수하라고 하는 것은 교육청의 직무유기다."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서 학교비정규직노조는 학교급식노동자들이 과도한 조리 양으로 인해 폐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에 장시간 노출돼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해 2월 학교급식노동자의 폐암이 산재로 처음 인정받았다. 당시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은 산재 역학조사를 통해 고온의 튀김·볶음·구이 요리 등에서 발생하는 발암물질이 폐암의 원인이 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는 "급식실 인력충원은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정부는 전국에 제각각인 급식실 배치기준을 표준화해야 하고 인력충원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