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저감 등 '기후위기' 극복 앞장서야
지역사회 환경선교 전문 마을환경선교사 과정
환경부 후원, 글쓰기, 쓰레기 제로교회 교육
업사이클링 팝업북 만들기 등 7월까지 진행
생태환경교육 위한 지구돌봄서클 등 교육 풍성
서울신학대학교,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주최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기독교는 쓰레기 줄이는데 올바르게 실천하는지, 자연보호에 인식은 제대로 학습(설교 등)하고 있는지에 대한 진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장기간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예배를 종식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과 그동안 자연생태게보호에 소홀한 부분까지 반성(회개)하는 반성은 이뤄지는 되돌아봐야 한다.
특히 보전할 가치가 있는 자연과 지역의 문화, 그곳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 소중함과 공존하는 사람들의 삶터까지 위태롭다. 사실상 기독교에서 놓친 부분이 자연보호다.
기독교환경교육센터는 환경부 후원으로 생태교육실천가를 위한 교육과 글쓰기 학습, 업사이클링 강좌 등이 마련돼 실시한다.
기독교환경교육센터에 따르면, 이번 교육 목적은 지역교회로 연결해 '교회숲(수목)' 현황조사와 더불어 교회숲네이처링 활동과 연계, 환경-생태-문화와 역사를 통합하는 생태교육실천가로 활동하는 마을환경선교사 양성교육이라고 밝혔다.
환경교육 이론뿐 아니라 도시(교회) 숲에서의 교육이나 지구돌봄서클(혹은 퍼실리테이션 교육)을 통해 신앙공동체 안에서 소통하는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을환경선교사'는 24일부터 6월 14일(10시 ~ 14시까지), 서울신학대학교 평생교육원 410호에서 열린다. 수강료는 5만원(사전입금 3만5000원) 입금처 우리 1005603661557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 '000(마을)'로 입금하면 된다.
수업내용은 ▲성서속 나무로 느끼는 하나님의 현존과 정원사 예수(최광선 덕신교회 목사, 생태영성학자) ▲지역사회와 마을환경교육: 마을 생태자원조사 방법론(유영초 산림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아파트와 도시숲의 풀과 나무들(박현정 빛문화연대 운영위원) ▲성서 속의 주요 식물들 이천용(한국산지복원연구소장) ▲아파트와 도시숲의 새와 동물들 유경숙(생태해설사, 사회환경교육사) ▲마을 생태자원 기반의 생애주기 환경교육프로그램 만들기 유영초(산림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생태환경교육 위한 지구돌봄서클 유미호(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센터장) ▲나만의 생태환경교육 교안 만들기 워크숍으로 진행된다.
또 다른 교육프로그램은 '탄소중립과 쓰레기제로교회' 교육워크숍이 준비됐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 나와 우리 교회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탄소중립은 누군가 이루는 것이 아니라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함께 이뤄야 할 과제다. 나로부터, 우리 교회로부터 자발적으로 달성목표를 정해 '건물에너지, 교통, 자원순환, 도시숲'의 영역에서 탄소중립의 삶과 사회를 이뤄갈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연속 교육워크숍이 열린다. 이번은 '자원순환과 쓰레기제로교회'가 그 주제다.
신청은 https://url.kr/5des3f 5월 21일(금), 28일(금) 저녁 8~10시까지이며 교육은 온라인 줌 공간에서 무료로 들을 수 있다.
21일은 ▲소비 회복과 물건의 삶과 자원순환과 제로웨이스트샵(송경호, 더 피커 대표), 28일 ▲안전한 녹색소비, 행복한 되살림(김정지현, 자원순환사회로가는길) ▲나로부터 시작되는 쓰레기제로 일상과 교회(유미호, 김대은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주제로 강의한다.
이어서 온오프병행으로 '기억과 치유의 글쓰기' - "살림의 기억, 되살림의 기록"수업(8강)이 6월 4일부터 7월 23일까지 매주 금요일 2시부터 2시간 동안 수업한다. 자세히보기 : https://blog.daum.net/ecochrist/836
우리 기억 안에는 '자아'와 '환경'이 촘촘하게 얽히고 설켜있어 개인의 자아가 홀로 감당하기에 만만치 않은 부분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글쓰기 수업은 기억에 수반된 감각과 감정을 언어화하는 작업이다. 나의 기억 속에서 환경과 자아(나)가 어떻게 상호작용해왔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때 공동체의 역동과 협력을 선용하는 재해석 작업이다.
신청: bit.ly/2RvWhyy 강사는 이인미(글쓰기 컨설턴트) 서울신학대 평생교육원 408호(수강료 5만원(사전입금 4만원)에서 오픈한다. 입금처 우리은행 1005603661557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000(글쓰기)'로 입금
수업내용은 7가지 주제인 인간의 조건, 물질환경, 생명환경, 사회환경, 환경과 자아, 환경결정론, 내 기억 속 '나'와 환경 이야기 정리하기 순으로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 수업인 '나만의 업사이클링 팝업북 강좌(8강)'도 5월 10일부터 6월 28일까지 연다.
자세히보기 : https://blog.daum.net/ecochrist/835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