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건강 회복 초록키트 지원
경동제약-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손잡고
정서적 회복 필요한 청소년·자립준비청년
전국 39개 기관에 초록키트 1135개 지원
2023년 식물 통해 소통 돕는 데 주력
청소년 마음 안정 찾거나, 결석주는 효과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코로나 이후 불안 장애와 우울감 등 심리/정서적 문제를 호소하는 청소년과 청년들이 늘어난 것이 사회적 또 다른 위험요소가 됐다.
서울그린트러스트는 식물을 통해 청소년과 청년들의 정서적 회복을 돕는 사업을 진행했다. 여가부가 발표한 '2023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22년도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경험률은 각각 41.3%, 28.7%로 전년 대비 2.5%, 1.9% 증가했다.
청소년은 학업 등의 이유로 생활권 도시숲 이용이 가장 낮은 연령대에 속한다. 이번 사업은 경동제약의 후원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지원했다.

녹색 복지에서 소외된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들의 정서 회복을 위해 식물 가드닝 키트를 지원하는 '초록키트 지원사업'공모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전국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39개 기관에 1135개의 초록키트를 지원했다. 2023년 서울그린트러스트 초록키트 지원사업은 식물을 처음 다뤄보는 청소년들이 식물에 꾸준히 애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
씨앗을 심어볼 수 있는 화분과 흙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반려 식물에 이름을 적어볼 수 있는 이름표, 식물의 성장을 기록해 볼 수 있는 활동지를 동봉해 반려 식물에 계속 애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왔다.
실제로 키트를 지원받은 기관 담당자들은 독립 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한 청소년이 씨앗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힐링할 수 있었다. 학교에 자주 결석하던 학생들이 식물을 보기 위해 아침마다 복지실에 방문하며 결석이 감소하고 무기력함이 완화됐다는 후기를 들려주기도 했다.

단순히 화분에 씨앗을 심는 방법을 알려주는 1회성 프로그램이 아닌, 자라난 씨앗을 큰 화분에 옮겨주는 과정까지 포함한 2회 차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이렇게 씨앗을 심고 키우는 과정에서 참가자들과 마음을 나누고 소통하는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그들의 정서적 및 심리적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서울그린트러스트의 이우향 사무국장은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들이 초록키트를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서울그린트러스트는 앞으로도 초록키트 지원사업을 통해 사회적 약자의 녹색 복지를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