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꽃문화 궁중채화, 아르떼 뮤지엄 협업
진기한 미디어 아트 등 색다른 전시 눈길
세계화예작가 초청전, 해외희귀식물전까지
세계 희귀한 꽃 전시 국가관 등 각양각색
이동환 시장“기분 좋게하는 전시 즐겨보길"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4년의 기다림 끝에 꽃의 향연 고양국제꽃박람회장에서 진기한 꽃들을 만들수 있다.
특히, 꽃을 주제로한 거대한 작품도 선보여 자연스럽게 스마트폰으로 사진찍게 되는 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박람회장은 다양한 야외테마정원과 꽃수상자전거, 꽃회전마차 놀이기구, 각종 매열 여는 공연과 이벤트까지 눈코 뜰새 없이 즐거움을 선사한다.
또한 반려식물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수백여 종의 살 수 있는 플라워 마켓도 장시간을 이루고 있다. 무엇보다도 꽃을 소재로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로 기다렸던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실내전시장인 화훼산업관은 세계화예작가 초청전과 해외 희귀식물전, 궁중채화 전시, 아르떼뮤지엄이 협업한 공간이다. 이곳에는 미디어아트, 국내외 화훼 산업 트렌드를 보여주는 각국의 신품종 전시까지 트렌드들을 가감 없이 엿볼 수 있다.

화훼산업관 입구에 들어서자 제일 먼저 청화백자 화병에 드리워진 붉은색과 흰색의 복숭아꽃 한 쌍이 눈에 들어온다.
일월오봉도와 나란히 조화를 이룬 홍백의 꽃나무에 감탄을 자아내던 관람객들은 설명을 읽고는 이내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얼핏 보면 생화 같아 보이는 이 꽃들은 비단과 밀랍 등으로 만든 국가무형문화재 황수로 명장의 궁중채화 대표작 '홍벽도화준'이다.
궁중채화는 비단이나 밀랍 등으로 꽃을 만들어 궁중의 연회나 의례에 사용하던 가화(假花)다. 비단이나 모시에 색을 입히고 꽃잎 모양으로 자른뒤 다려 손으로 하나하나 빚어 만들어진다. 왕실의 위상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사용되던 궁중채화는 일제강점기 시절 문화 말살 정책으로 사라질 뻔 했지만 황수로 명장이 복원해 그 명맥을 잇고 있다.

화훼산업관에 전시된 홍벽도화준은 청화백자에 홍도화와 벽도화 한 쌍을 놓아 연회 때 어좌 양쪽을 장식하던 화준(花樽)이다. 약 3m 가량 되는 나무에는 각각 비단으로 만든 2000개 가량의 꽃과 학, 공작, 봉황, 까투리 등이 장식돼 있다. 비단 꽃잎은 열매, 뿌리 등 자연으로부터 나온 염료와 송화가루, 밀랍으로 만들어져 야외에 두면 실제로 벌과 나비가 내려앉는다.
실내전시 관람을 마치고 돌아 나오던 관람객 A씨는 "세계 곳곳의 생화들이 전시된 화훼산업관을 한바퀴 둘러보고 나니 비단꽃으로 만든 궁중채화의 전통적인 미가 대비돼 더 실감나는 것 같다."며 다시 한번 홍벽도화준의 꽃잎들을 유심히 바라보고 자리를 떠났다.
궁중채화 작품을 지나 중앙에 들어서자 7색의 독특한 화훼 공간 장식이 3면을 둘러쌌다.
카메라를 든 관람객들이 저마다 사진을 담아내는데 열중하고 있는 이 곳은 인터플로라 월드컵‧유로파컵‧영국 첼시플라워 등 권위 있는 국제대회 챔피언 7인의 화예작가 초청전이 열리는 공간이다.
이번 초청전은 독일의 비욘 코너(Björn Kroner-Salié), 핀란드의 피르요 콥비(Pirijo Koppi), 대만의 캘빈 리(Kelvin Lee), 헝가리의 가보 나기(Gábor Nagy), 폴란드의 이자 투카츠크(Iza Tkaczyk), 몰도바의 드미트리 트루칸(Dmitri Trucan) 그리고 한국의 정광옥 작가가 참여했다.
작품들 한가운데서는 정광옥 작가가 통역가를 옆에 둔 다른 참여 작가들과 꽃에 대해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피르요 콥비 작가는 직접 작품의 상태를 확인하는 등 말 그대로 글로벌한 화훼문화 교류의 장이 펼쳐졌다.

다채로운 색과 꽃의 유기적인 결합에 고려청자가 어우러진 정광옥 작가의 '색(色)-소통하다',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러시아 발레 작품 세헤라자데에서 받은 영감을 표현한 드미트리 트루칸의 '세헤라자데', 수묵으로 그린 서예가의 그림을 나무껍질과 꽃으로 표현한 캘빈 리의 '묵화' 등 잠시 멈춰서 작가의 작품설명을 읽어보면 조금 더 새롭고 다양하게 작품을 해석해볼 수 있다.
■7년에 한번 꽃피우는 아모르포팔루스
세계화예작가전 뒤쪽으로 돌아가면 자그마한 해외 희귀식물이 있다. 얼핏 보기엔 평범해 보이는 이 식물은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 서식해 평소에 보기 어려운 아모르포팔루스(곤약속, Amorphophallus)에 속하는 식물들이다.
아모르포팔루스 식물들은 약 7년 동안 땅속 덩이줄기에 양분을 모아 단 이틀에서 5일 정도의 기간만 꽃을 피운다.
꽃이 피면 시체가 썩는 것 같은 악취를 풍겨 시체꽃으로도 알려져 있다. 악취를 풍기지만 약용으로 쓰이기도 하고 동남아에서는 식용으로 재배된다.

아모르포팔루스 주변으로는 서툰 한국말로 꽃을 설명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에콰도르, 태국, 르완다 등 다양한 국가 부스들이 국제박람회장임을 실감케 하는 국가관과 국내외 신품종을 소개하는 신품종관이 이어진다.
전시장 가장 왼편에 몰입형 미디어아트로 유명한 디스트릭트의 아르떼 뮤지엄과 협업한 '영원한 자연'을 주제로 한 '유채'그리고 '등나무' 2종의 미디어아트를 감상할 수 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이번 고양국제꽃박람회는 25개국 200여개의 기관, 단체 등이 참여하는 화훼산업계 국제교류의 장으로 마련돼 5월 8일까지 이어진다."며 "실내전시에도 7인7색의 세계화예작가전, 한국전통꽃문화를 소개하는 궁중채화 등 다양한 볼거리가 준비돼 있으니 함께 즐겨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