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 협약
서귀포 설비 구축, 2026년까지 91억 원 국비 지원
2027년부터 수소승용차 하루 약 100대 충전 계획
제주도내에서 탄소중립 실현 목적으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뽑아내는 수소에너지원을 만들게 된다. 바로 음식물류 쓰레기에서 수소를 만들어 생산하는 청사진이다.
이번 청정수소 생산 프로젝트는 환경부를 중심으로 K-eco 한국환경공단, 제주특별자치도가 참여한다.
사업비는 2026년까지 국비를 포함 91억 원으로 정해졌다.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오영훈)와 3자 기관은 22일 '2025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코레일 광명역에서 체결한다.
환경부는 '2025년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 공공 부문 사업자로 제주도를 선정하고, 2026년까지 91억 원(총 사업비 130억 원의 70%)의 국비를 지원한다.
이번 협약은 제주의 청정수소 생산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해 3자 기관은 권한과 역할, 책임을 명확히 하고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은 수소차 보급을 확대하고자 수송용 수소의 안정적 공급과 지역 자립형 수소 생산을 높이기 위해 2023년부터 매년 2곳씩(공공 1곳, 민간 1곳) 수소 생산시설의 설치를 지원한다.
이 사업은 가축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미생물로 분해)할 때 나오는 바이오가스(메탄+이산화탄소)를 순도 95% 이상의 메탄(메테인)으로 정제(고질화)한 후 다시 전환(개질화)해 수소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 광역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제주 서귀포시 색달동 소재)에서 발생하는 하루 4000Nm3의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2027년부터 수소승용차 하루 약 10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수소 500kg을 생산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국비 약 288억 원을 지원해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시설 4곳의 설치를 추진하고, 2026년부터 일부 시설이 완공돼 본격적으로 수소가 생산될 예정이다.
공공 부문은 충남 보령시는 국비 84억원, 경북 영천시는 국비 91억원을, 민간 부문은 현대자동차 국비 50억원, 에코바이오홀딩스 국비 63억원이 투입했다.

앞으로 매년 신규 수소 생산시설 2곳을 지원해 2030년까지 하루 약 6000kg의 수소가 생산돼 수소차 충전 편의성도 점진적으로 개선될 예정이다.
오는 7월 9일부터 13일까지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리는 제12회 국제e모빌리티엑스포2025 조직위원회 김대환 이사장은 "모빌리티산업의 큰 축은 깨끗한 에너지원 확보에 달려있다."며 "청정 제주도를 지키고 관련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자원순환경제사회를 체계적으로 이끌어내야 하는데 청정수소생산은 한층 카본프리 아일랜드 건설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제주도에서 나오는 음식물류 쓰레기를 자원화해서 미래 에너지원으로 재창출하는 것은 제주의 미래가 핵심 전략중 하나"라며 "이번 환경부, K-eco와의 협력은 매우 미래지향적인 클린 제주로의 비전"이라고 감사함을 표시했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송용 수소의 안정적 생산 및 공급은 제주의 수소차 보급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수송부문의 탄소중립과 지역자립형 수소차 생태계 구축, 바이오가스 활용한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데일리 = 장수익 제주취재본부]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