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녹색경제 강화
활동별 환경개선효과 산정방법 산정도구 개발
기후공시 의무화를 시작으로 기업 생산활동에 피할 수 없는 장벽이 쌓이고 있다.
이를 넘기 위한 첫 번째는 탄소밸류체계에서 녹색분류체계화로 대전환을 지원하는 한국형 녹색산업의 솔루션 R&D 제공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산업은행과 함께 녹색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금융·산업계의 녹색분류체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을 공동으로 개발해 2월 27일 공개했다.
최근 녹색분류체계를 중심으로 녹색금융 시장이 확대로 금융사들은 국내 중소기업을 포함한 모든 생산기업들이 공통문제인 온실가스 감축을 줄여주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민관이 함께 녹색경제활동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론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시스템화에 주력했다.
녹색분류체계는 친환경적, 즉 ESG경영활동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의 기준을 정한 것으로, 총 84개의 녹색경제활동으로 구성돼 있다.
환경산업기술원과 산업은행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경제활동별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 및 산정도구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방법론은 한국형 84개 녹색경제활동 중 21개를 대상으로 40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을 연계 '경제활동'단위의 환경개선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특히, 환경부의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서 작성지침 및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 등을 참조 신뢰도를 강화했고, 실무자들이 쉽게 이용할수 있도록 엑셀 프로그램 및 웹페이지 기반의 자동 산정 도구를 함께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다.
금융기관은 녹색채권 발행, 녹색여신 심사 등 녹색금융 지원에 따른 객관적인 감축량을 평가할 수 있고, 기업들은 녹색분류체계를 적용해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할 시의 환경개선효과를 명확하게 산정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은 환경책임투자 종합플랫폼(gmi.go.kr) 및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판단 참고서를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환경산업기술원과 한국산업은행은 금융시장 내 녹색경제활동 수요를 적극 반영해 지속적으로 방법론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직무대행은 "녹색금융이 제조생산현장에서 일어나는 기후변화 대응 수단으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체계적인 방법론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녹색경제활동의 효과를 평가 기준을 지속가능한 고도화함으로써 대한민국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 지원을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