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민단체(NGO)에 충격을 안겨준 모대표의 비리혐의는 시민사회에 충경을 줬다.
![]() |
▲ © |
NGO는 한국 사회의 굵직한 성장 마디마다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비약적 성장을 해왔고, 그에 따른 적절한 견제장치가 없어 권력화하고 투명성을 잃어버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이번 NGO논란에 대해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했으나 그에 따른 책임 감시제도는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자업자득으로 풀이된다.
누가 보더라도 윤리적도덕성을 강하게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을 뒤따라야 하며 '갑과 을'에 '갑'의 신뢰를 받고 있지 못할 경우에 자율적 조정이나 중재는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러한 때 '을'의 보호와 중재역 활을 기대하는 NGO시민단체의 공익을 추구한다는 대의명분을 가지고 '갑'의 횡포에 맞서고 갈등조정자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을'의 시민의 피해를 줄여야한다.
요즘 일반시민이 바라보는 NGO의 경우 내부에서부터 불투명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문제점으로 지적을 많이 한다. 후원금 사용이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후원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많다.
또한 NGO의 난립도 질(質)적 저하를 초래한 한 요인이란 지적도 제기된다.
행정자치부에 통계에 따르면 정부에 공식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 수는 2008년 8175개에서 2011년 1만209개로 1만개를 넘어섰고, 2012년(1만889개), 2013년(1만1579개)에 걸쳐 꾸준히 늘어나다 작년(1만2252개)에 1만2000개 단체가 등록됐다.
그야말로 대한민국은 NGO 천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현상은 설립에 특별한 진입장벽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떤 단체가 어떤 활동을 하는지 시민단체 사회 내부에서도 오래전부터 서로 모를 정도로 유사한 단체가 너무 많이 생겨났다. NGO의 생명은 시민참여에 의해 시민이 주체가 돼 수행돼야 함에도 우리의 사항은 그러하지 못하고 있다.
시민 없는 시민운동으로 소수 명망가나 상근 운동자를 중심으로 하는 엘리트 위주의 활동으로 비쳐지며 소수의 중앙에 집중돼 모든 분야에 패권을 위주의 활동을 하고 있다. 시민들은 몸집이 불어나는 NGO에게 등을 돌리며 토마토 비타민처럼 속과 겉이 같아야한다고 생각한다.
견제 세력이나 감시 장치 없이 정치화 사유화되면서 갑과 을에 있어서 '갑'의 행태를 보여주고 있다.
'을'의 탈을 쓴 잘못된 일들이다. NGO가 시민으로부터 외면을 받는다는 것은 그 존재의 이유를 부정 받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런 만큼 운영방식 개선과 초심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NGO 관계자들이 부정부패에 연루되고, 단체 임원들이 비판의 대상인 기업이나 정치권과 검은 거래를 하는 일이 발생은 물론,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참여보다는 투쟁적 성격의 행동 지향적 성향을 나타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 조차 정부의 정책에 발목을 잡는 어용 NGO가 판을 치는 것도 NGO 진정성을 훼손하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한민국 수많은 NGO 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검증이 이뤄지고 있지 않아 우리 사회에 우려의 목소리를 반면교사로 삼아 토마토처럼 속과 겉이 같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