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산림경관숲, 열매숲, 마을 전통 숲복원 상업 등
2026년까지 공공 600만, 민간 400만 등 1000만 그루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천년의 도시, 천만의 나무의 우거진 고향의 전라북도의 중심 전주시가 푸른 숲을 이루기 위한 프로젝트가 가동된다.
분지 지형으로 인한 공기흐름 정체와 도시개발로 인한 녹지 감소, 배기가스를 내뿜는 차량 증가 등으로 대기질 악화의 악순환을 겪는 전주시가 천만그루 나무심기 사업을 본격화한다.
'천만그루 가든시티 전주' 프로젝트는 한그루의 나무라도 심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최우선적으로 나무를 심어, 도시 전체를 거대한 녹지축으로 만드는 계획으로 민선7기 김승수 전주시장의 첫 결재사업이다.
시는 2026년까지 8개년 동안 공공분야 600만 그루, 민간분야 400만 그루 등 총 10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다. 이를 위해 우선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각 분야별 세부추진계획을 포함한 종합계획을 수립 중에 있으며 교수, 환경단체, 조경인, 화훼인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를 준비 중이다.
![]() |
▲한옥마을 오목대와 경기전 인근 숲 |
천만그루의 나무와 꽃을 심어서 도시 전체를 하나의 정원으로 조성하자는 야심찬 계획은 우선 공공부문에서 출발한다.
공공부문의 세부계획을 살펴보면 ▲가로숲 조성 ▲미세먼지 저감숲 조성 ▲복지시설 나눔숲 조성 ▲옥상 및 벽면녹화 ▲녹색주차장 ▲담장을 없애는 수벽화 ▲도시숲 조성 등 도심지 녹화사업을 통해 총 5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을 계획이다.
또, ▲공원조성 ▲놀이터 조성 등 테마공원 조성 및 환경개선사업 30만 그루 나무 심기 ▲복합 산림경관숲 조성 ▲열매숲 조성 ▲마을 전통 숲 복원 ▲명품 숲길 조성 ▲치유의 숲 조성 등 산림테마숲 조성을 통해 70만 그루를 심어, 총 600만 그루를 심기로 했다.
또 숲·공원 조성과 더불어 아중호수와 덕진연못, 기지제 등 6대 호수를 각각의 특성에 맞게 명품화하고, 기타 저수지 주변도 수목을 식재하는 등 시민 휴식공간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전주시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2년 동안 전주역 앞 마중길이 끝나는 덕진구 우아동 명주골네거리에서 완산구 평화동 꽃밭정이 네거리까지 백제대로 15km 구간에 국비와 시비 총 82억을 투입해 도시 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민간부문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도 전개된다. 민간부문에서 ▲1인 1그루 나무심기 운동 전개(70만 그루) ▲도심 생활권 주변 나무심기(10만 그루) ▲옥상·벽면 녹화운동(40만 그루) ▲기관·기업·단체 참여 숲 조성(150만 그루) ▲택지개발 및 건축 인허가 조경관련 협의(130만 그루) ▲학교 꿈나무 숲 조성(10만 그루) 등 400만 그루의 나무를 심게 된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천만그루 가든시티 전주'는 천만그루 나무와 꽃으로 열섬과 미세먼지 저감, 걷고 싶은 생태도시와 아름다운 정원도시를 만들어가는 시민주도 정책"이라며 "도시가 쾌적하고 아름다울 때 시민들은 도시로부터 존중받는 느낌을 갖는 만큼 '천만그루 가든시티 전주'는 도시자체가 시민들을 행복하게 하는 무한한 공공재가 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정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