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카 국제무역특구, 한국기업 물류이송 유독 늦어
철도 시스템, 사물인터넷, 카자흐스탄 상호 정보 논의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사드 정치 보복성 심각성이 중국과 카자흐스탄 경제특구 지역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국회의원 연구단체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 (국회 철도·통일·경제 포럼)'과 코레일 대표단은 카자흐스탄 철도 물류 인프라 현장 조사 및 관련 정책간담회 참석 차 카자흐스탄 방문 도중 한국 발 물류 통관이 유독 지체되는 문제점을 발견했다.
국회 '통일을 넘어 유라시아 (국회 철도·통일·경제 포럼)' 대표인 노웅래 의원(더불어민주당, 마포갑)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6박8일의 일정으로 코레일 측 대표단과 함께 카자흐스탄-중국 간 철도 물류시설을 시찰하고 아스타나 물류센터를 둘러보며 한국의 물류 경쟁력 강화 대책을 강구하는 등 카자흐스탄의 철도·물류 인프라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특히 포럼 소속 의원들과 현지 진출해있는 우리 기업인들과의 면담 결과, 카자흐스탄-중국 접경지역의 한국 기업들이 물류운송 지체로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 국경을 통과하는데 7일~10일 정도 화물 운송이 지체돼 한국 발 물류의 경쟁력이 심각하게 떨어지고 있고, 통관 어려움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태라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노 의원은 공식방문을 마친 자리에서 "포럼 소속 의원들은 우리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카-중 접경지역 화물열차 환적 시스템을 점검하고, 카자흐스탄 철도 공사 측과의 논의를 통해 물류 처리기간 단축 등의 합의점에 접근했다."고 밝혔다.
카-중 국제경제무역특구, 즉 호르고스 특구는 중국 북서부 신장 자치구. 카자흐스탄과 중국이 접경지에 공동 설립한 국제경제무역특구이다.
![]() |
▲특구 내 철도 노선 |
특구 내 철도 노선을 통해 화물을 운송할 경우 신속한 통관 환적이 이뤄져 기존 대륙철도 노선보다 운송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의원 대표단과 코레일 측이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카자흐스탄 철도 구간 중국횡단철도 운영현황을 공동 파악한 결과, 카자흐스탄 철도공사 측과 함께 철도 시스템, 사물인터넷, 카자흐스탄 상호 정보 공유를 논의했다.
또, "한국 발 물류 통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대한민국의 국제 철도 협력기구(OSJD) 가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만장일치로 규정돼 있는 정회원 가입 요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돼야 하며 카자흐스탄 철도공사 측의 지속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