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예산 23억 1천만원 확보 어린이집 경로당 보호
시민참여 전주시 미세먼지 저감대책 다울마당 강화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전주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을 '재난'으로 규정하고,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이달 중 전주시의회의 동의 및 의결을 거쳐 '전주시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예방 및 저감지원 조례'를 제정할 계획이다.
조례의 주요 내용은 사전에 미세먼지 발생원을 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장, 사업자, 시민의 책무와 미세먼지 저감대책 수립사항, 대기측정망 설치·운영 사항 등이 포함된다.
![]() |
▲미세먼지는 관광산업에도 치명적이다. 전통적인 문화상품 중 하나인 한옥관광 자원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지만, 초미세 먼지 발효가 되면 관광객이 줄어 지역경제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건강보호 취약계층은 더욱 심하다. 사진은 미세먼지로 뒤덮힌 전주시내 모습 |
시는 '미세먼지 저감 조례'가 시의회에서 가결되고 공포되면, 미세먼지관련 각종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앞서 3월 발족한 '전주시 미세먼지 저감대책 다울마당'에 보다 많은 전문가와 환경단체, 시민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하고,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시는 다울마당에 참여하는 다양한 시민들로부터 미세먼지를 줄이고 피해예방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은 물론, 미세먼지 관련 정책을 검토하거나 신규 정책 및 시민 실천사항을 발굴토록 해 미세먼지 대책의 보완 및 구체적인 실행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시민들을 고농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하고 미세먼지 발생원을 줄이기 위한 실천사업들도 추진된다. 대표적으로, 시는 고농도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올 하반기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23억 1000여 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어린이집과 경로당 등 1,071개소(어린이집 470개소, 경로당 601개소)에 공기청정기 3256대(어린이집 2156대, 경로당 1100대)를 우선 보급할 계획이다.
시는 또 도심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원을 대폭 줄이기 위해 올해 65억원을 투입해 총 1398대의 노후경유차 폐차를 지원하고, 전기차 확대 보급 사업 등도 추진한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