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상수도 20년 이상 노후관 총 1,365km, 조속히 교체돼야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노후관 수도관로만 제대로 관리하고 제 때 교체만 해도, 수자원공사가 이렇게까지 재정적으로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완영 의원은 최근 한국수자원공사(K-water,사장 최계운)에 광역상수도의 관로사고를 막기 위해 노후관을 교체하고, 가동률을 적정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대책을 마련해주길 촉구했다.
국가 물공급 체계에서 광역상수도는 인체의 대동맥과 같은 역할을 하기에 사고발생시 그 피해는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하다. 하지만 최근 3년간 광역 및 공업용수도 관로사고가 총 152건이나 발생하였고 주된 원인은 시설노후였다.
![]() |
▲ © 환경데일리 |
광역상수도 노후도를 살펴보면, 2015년 현재 전체 관로 5,191km 중 26%인 1,365km가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관로이며 30년 이상 된 관로도 433km나 남아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상수도 시설기준(환경부)에서는 수질오염, 관로파손 등으로 인한 수돗물 공급중단을 방지하고자 광역상수도의 적정가동률을 75%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2014년 기준 광역상수도의 가동률은 72%에 그쳐, 적정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이로 인해 2013년 400억, 이듬해 300억 등 최근 5년간 약 3000억원이라는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 |
▲ © 환경데일리 |
이완영 의원은 "광역상수도의 노후관 증가, 단선관로 문제는 단수사고로 이어져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공은 속히 해소대책을 마련해 시의적절한 관로교체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그러면서 "미흡한 상수도 가동률로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가동률을 적정수준까지 높여 상수도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소재 상하수도, 가스 누수 등을 사전에 차단할 센서 기술을 특허출원한 중소기업 대표는 "매년 수돗물 누수로 인해 버려진 국민 세금만 수백억 원이 넘는데 이를 방치하고 있다"면서 "국내 관로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으뜸이다. 노후관 역시 센서만 부착해도 관로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