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현대차의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의 시연 장면 (사진 : 현대기아차) © 환경데일리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현대·기아차가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최초로 2020년을 목표로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에 나선다.
현대자동차는 31일(화) 인천시 송도 국제업무지구 내 도심 서킷에서 회사 관계자와 기자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자동차 서울모터쇼 프리뷰'행사를 갖고 다음달 2일 개막하는 서울모터쇼에 선보일 차량과 신기술과 향후 차량개발 방향, 미래 스마트카의 핵심인 자율주행 기술의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먼저 현대차는 고속도로 상에서 부분 자율주행이 가능한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DA, Highway Driving Assist)'을 국산차 최초로 양산화해 올 하반기 선보일 신차에 탑재할 예정이다.
또한 이날 행사에서 신형 제네시스에 선행 연구용으로 탑재된 자율주행 기술인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TJA, Traffic Jam Assist)'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시연 장면을 공개했다.
현대·기아차는 이번에 선보인 기술들을 바탕으로 2020년부터 고속도로와 도심을 비롯한 여러 도로 환경에서 운전자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현재 현대·기아차는 ▲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LKAS) ▲ 후측방 경보 시스템(BSD) ▲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 등 자율주행 기술의 기본이 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을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주요 양산차에 이 기술들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6월에는 이들 기술만으로도 운전자의 개입 없이 부분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해졌음을 보여주는 '무인 호송차(The Empty Car Convoy)' 동영상을 인터넷 상에서 공개하기도 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대차는 올 연말 선보일 신차에 보다 진일보한 자율주행 기술인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을 국산차 최초로 탑재한다고 밝혔다.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은 ▲ 차선유지 제어 시스템 ▲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 내비게이션 연동 기능 등을 통합한 기술이다.
또 향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은 차량 정체 및 끼어들기 등 교통상황이 보다 열악한 도심 구간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로, 저속 구간에서도 구현이 가능하고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도심 구간에서도 앞차와의 거리 유지 및 차선유지 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차선 인식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레이더와 카메라로 주변 차량과 사물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부분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현대·기아차는 이른 시일 내에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의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며, 이를 비롯한 다양한 자율주행 기술을 순차적으로 확대 적용해 오는 2020년에는 고속도로와 도심을 포함한 국내의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대·기아차 총괄PM담당 정락 부사장은 "최근 안전한 차가 전세계 자동차 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대·기아차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감지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지능형 안전차량의 개발에 더욱 매진해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스마트카 시장에서 향후 선두권 업체로 도약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미래 스마트카 시장을 둘러싸고 글로벌 자동차 업계 내 기술 주도권 다툼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상황"이라며, "꾸준한 투자와 우수한 연구인력 유치를 통해 2020년 이후에는 양적·질적 측면에서 업계를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차는 다음달 2일 개막하는 2015 서울모터쇼에서 '진화하는 활력(Evolving Vitality)'이라는 모터쇼 콘셉트를 바탕으로 신차 및 친환경차 등 총 42대를 비롯해 다양한 신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