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4000억 톤 이하 탄소배출 억제
앞으로 태풍 잦아질 것으로 예측
침수피해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집중
미래세대 급격한 '탄소부채' 떠안게돼
▲해안지역은 바닷물이 더위지면서 해수면 상승은 불가피해졌다. 특히 슈퍼급 태풍 발생 빈도가 높아지면서 사람이 살수 없게 된다. |
[환경데일리 온라인팀]나날이 심각해지는 기후위기로 인해 태풍의 위력도 커지고 있다. 태풍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북상하고 있는 태풍 '카눈' 때문에 한반도가 긴장하고 있다.
이번 여름 폭우 피해로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데 이어 새롭게 등장한 태풍이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7월 26일 괌 남서쪽이 발생한 태풍 '카눈'은 남해상에 상륙해 서울을 관통해 북상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대응단계를 최고 수준인 3단계로 상향했고 행안부도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에서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2017년 텍사스 한 시민이 이 지역 허리케인 하비로 인한 홍수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카약의 노를 젓고 있는 모습 |
지난해 '힌남노'로 인해 경북 포항지역의 포스코가 물에 잠기면서 복구에만 넉달 가량 소요되는 등 막대한 영업손실이 발생한 터라 내륙으로 진입하는 태풍의 진로에 더욱 더 촉각이 곤두설 수 밖에 없다.
기후위기로 인해 태풍의 위력이 점점 더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다.
과학자들은 지구가열화로 인해 해양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태풍의 위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해양온도가 높아지면 대기 중의 수증기가 증가하게 됐다. 즉 태풍이 추가적인 에너지를 받아 더 큰 힘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 과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1977년부터 2013년까지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주변 대양의 해수 표면 온도가 올랐고 이 기간 동안 태풍의 강도는 12%-15% 강력해졌다.
특히 4등급 또는 5등급으로 분류되는 강력한 태풍의 발생 비율이 최소 두 배 이상 늘었다. 열대성 저기압 즉 태풍으로 인해 아시아 지역에서만 1970년부터 2019년까지 거의 백만 명 이 목숨을 잃었고 2조 달러의 경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됐다.
▲2020년 태풍 밤코의 피해를 입은 필리핀 지역 주민의 모습. |
앞으로 한반도에 미칠 영향도 크게 걱정된다. 그린피스가 기후변화 연구기관인 미국의 클라이밋 센트럴 자료를 제공받아 분석한 결과 2030년 태풍으로 인한 홍수피해로 우리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태풍으로 인한 해안가 홍수 피해로 300만 명 이상이 사는 면적이 침수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 피해는 주로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집중된다.
국민재난안전포털은 태풍에 대비한 아래 다섯 가지 행동요령 ▲스마트폰이나 TV 등 기상상황 파악하고 재난 정보를 주변 사람들과 공유 ▲계곡 하천, 저지대, 상습 침수지역 등 위험 지역에 머무르지 말고 주변 사람들과 안전한 곳 이동 ▲지붕 간판을 미리 결박하거나 차량을 안전한 곳 이동 등 시설물 보호 준비 ▲상수도 공급 중단 대비 욕실에 물을 받아두거나 응급용품 등 미리 준비 ▲외출 자제 전화 등 통해 약자들 안전 수시 확인을 당부하고 있다.
강력해지는 태풍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는 태풍을 선제적으로 막는 방법은 소개되고 있지 않다. 왜 태풍이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는지 그 원인을 알고 이를 해결해야 한다. 강력한 태풍을 유발하는 해수면 온도 상승은 결국 인간이 산업활동을 통해 내뿜어 온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영향이 매우 크다.
지금까지 바다는 온실가스로 인한 초과 열의 90% 이상을 흡수했다. 지구 가열화와 함께 바다 역시 점점 더 온도가 오르고 있는 것.
![]() |
▲경북 예천지역 집중호우로 산사태를 일으켜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을 쓸어갔다. |
궁극적으로 태풍을 비롯한 많은 기후재난이 발생하는 것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온실가스 감축을 줄여야 만 한다. 극단적 기후재난을 막기 위해서 2020년 기준 전세계는 향후 4000억 톤 이하로 이산화탄소배출을 억제해야 한다.
아무리 보수적으로 계산하더라도 한국의 경우 2023년부터는 영원히 45억 톤 이상 배출해서는 안된다는 계산이다.
기성 정치인들은 2030년까지 41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겠다는 정부계획을 확정했다.
결국 현재 청년과 청소년 등 미래세대는 지금보다 훨씬 더 급격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탄소부채'를 떠안게 된 상황이다. 우리는 더욱 더 불합리한 상황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
위기가 눈앞에 다가오고 있는데 방관하고 외면하는 정치권과 기업에게 더욱더 빠른 변화를 요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