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지시메일 공개, 추가 의혹 사례 제시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년 7월 16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 특정 작가를 지목해 해당 도서를 '선정도서'에서 제외하라는 지시메일을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노웅래 의원(더불어민주당, 마포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기성, 출판진흥원)은 지난해 '찾아가는 중국도서전'사업을 집행하면서 특정 작가의 특정 도서를 배제한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이 사업에서 출판진흥원은 심사위원회를 통해 60종의 추천도서를 선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문체부가 특정 도서 5종을 지목해 제외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이다. 해당 메일에는 별다른 설명 없이 "도서전 목록 중 해당 번호는 제외 바란다"고 쓰여 있었다.
출판 블랙리스트 작성 과정에서 문체부가 깊숙이 개입한 사실도 드러났다. 노웅래 의원실이 입수한 메일 내용에 따르면, 문체부 출판인쇄광고과장은 메일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직접 지시했고,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심사위원회 결과도 무시한 채 55종의 추천도서만을 최종 발표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저자는 진중권, 고도원, 조지욱, 박시백 작가, 그리고 정홍규 신부이다. |
이외에도 2016년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추진했던 각종 도서 사업과 출판블랙리스트 명단을 비교한 결과, 해당 작가들의 저서가 사업에 신청된 사실은 있었으나 단 한권도 선정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우수도서를 종 당 1000만원 이내로 구매해 전국 공공도서관에 비치하는 2016 세종도서 선정사업은 물론, 2016 좋은 책 선정사업에서도 '블랙리스트 저자'들의 도서는 선정되지 않았다.
노웅래 의원은 "2016년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사업 전체에서 블랙리스트가 작용했는지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며, "당시 메일로 지시한 출판인쇄광고과장 소환은 물론, 출판문화산업진흥원 이기성 원장의 개입여부에 대해서도 철저한 조사를 통해 엄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