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 소득, 연금, 일자리, 인력개발 등 6개분야
[환경데일리 유혜리 기자]보건복지부는 국민들의 노후생활 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관련 부처와 전문가 중심으로 ‘국가노후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고 28 밝혔다.
국가노후준비위원회는 앞으로 '노후준비 지원에 관한 5개년 기본계획' 등 노후준비 지원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하게 된다.
국가노후준비위원회에서 관계부처와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국민들의 노후준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올해 연말을 목표로 제1차 노후준비 지원 5개년(‘17~’21)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노후준비 지원 기본계획에는 ▲노후준비 지원 관한 정책 기본방향 ▲노후준비 지원 위한 노후준비지원센터 설치 등 기반조성 관한 사항 ▲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 등 영역별 노후준비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포함할 계획이다.
방문규 차관은 "급속한 고령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국민들의 준비되지 않은 노후로 인한 빈곤과 질병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길어진 노후를 중장년기부터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국가노후준비위원회를 기반으로 국민들의 활기차고 안정된 노후생활 영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과 사업을 개발하고 충실히 이행하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에 참여하는 민간위원으로는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정무성 교수(노인복지 분야),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조세연구본부장 전병목(소득, 연금분야), 한국개발연구원 인적자원정책연구부장 최경수(일자리, 인력개발 분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배규식(고용 분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이윤환 (의료체계 분야),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위원 고제헌(사적연금 분야) 6명이다.
![]() |
▲노후준비지원 서비스 체계도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