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 다시 시행돼야, 그렇다 '81.9%'
여성환경연대, 보증금 부과와 재활용 컵 소재 단일화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COME ON, CUP ON, 텀블러 줄게, 보증금 다오!", 소비자 10명중 8명 일회용컵 보증금제 찬성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가 지난 9월 조사했던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예상과 달리, 우리 시민들의 환경의식 수준이 어느 정도 업그레이드됐다는 증거가 일단 반가운 일이다.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다시 시행돼야 하는 이유로는 '일회용 컵 사용을 자제하기 위해', '보증금 미환불금을 통한 환경보호 활동을 위해' 라는 생각이 가장 많았다. 테이크아웃을 해온 소비자들은 다회용 컵 할인 혜택에 대해 아직도 잘 모른다는 답변이 절반이 가까운 '51.6%'에 달했다.
여성환경운동의 산실인 여성환경연대는 회원, 이웃 분들이 아닌 인구표본으로 선출된 전국 1000여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내놨다.
먼저,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다시 실행돼야 한다고 생각을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81.9%'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다시 시행돼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라는 질문(복수응답)에서 '보증금 제도를 통해 컵사용을 자제하기 위해서', 그리고 '미환불금으로 환경보호 활동기금 활용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마지막으로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다시 시행된다면, 보증금 금액은 얼마가 적절하다고 일반시민들은 평균 200원 전후를 답변이 비슷하게 나왔다.
그동안 환경부는 '소비자 부담'을 이유로 들어,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에 대해 소극적인 대응을 보여왔다.
이같은 이면에는 대기업들이 식품소비재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일회용컵, 접시 등을 많이 배출량은 곧 매출액, 영업이익과 연결되지만, 정부는 손을 놓고 있다. 이유는 단 하나, 일회용컵 생산기업과 재활용공제조합이 일감과 무관하지 않다.
전직 환경부 전직 장관은 "일회용컵을 100% 회수하도록 강력한 규제를 하면 기업들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하소연도 무시할 수 없었다."면서 "강력한 규제를 가해 일회용컵 회수 재활용사업이 일감이 줄면 EPR품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환경부 직원들이 퇴직후 관련 단체 재취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국내 재활용산업의 이면을 토로했다.
그의 발언과 달리 이번 설문조사를 나타난 소비자들의 생각은 정부의 생각과 전혀 다르게 나왔다. 일회용 컵 보증금을 부담스러워하거나 꺼려하는 것이 아닌, 오히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번 답변에서 나타난 심리적인 현상은 두 가지로 합축된다. 하나는 카페에 갈때마다, 일회용 컵을 쓸때마다, 거리에 버려진 일회용 컵을 볼때마다 불편했던 마음들이 자극제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하나는 일회용컵을 사용하면서 정당한 값을 치루고 그 값어치가 자원보호에 일조할 수 있다는 생각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뿐만 아니라 일회용 컵을 사용한 음료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윤을 얻는 기업 역시 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지고, 함께 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국내 커피문화를 리더하고 있는 스타벅스커피코리아측은 "정부의 자원낭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재활용 정책에 대해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여성환경연대가 진행한 24개 브랜드 72개 매장에 대한 실태조사와 '다회용 컵 사용 및 제공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다회용 컵에 대한 기업의 태도를 살펴봤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