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서해안 발전력 및 수도권 부하 집중심화 정전 발생 우려
발전제약 등 계통안정도 확보 문제 발생 높아 KG-ESS 활용 전망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KEPCO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출력 변동성이 큰 신재생 전원의 확대와 송전선로 및 변전소 건설이 어려워짐에 따라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신개념 에너지저장시스템(KEPCO Grid Energy Storage System, KG-ESS)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KG-ESS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개선하는 계통안정화용 ESS를 의미하며, 계통주파수조정을 위해 기 설치된 ESS를 포함해 지금 한전에서 세계최초로 개발 중인 과도안정도와 전압안정도 개선용 ESS를 총칭해서 말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신재생전원으로 대체하는 에너지정책을 수립 중이다.
이중 출력의 변동성이 큰 풍력 및 태양광발전은 전체 신재생전원 설비용량의 약 80%로, 대규모의 변동성 전원을 전력계통에서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계통안정화용 ESS의 필요성이 증대될 전망이다.
동해안과 서해안의 발전력 및 수도권의 부하 집중심화와 더불어 송전선로 건설 지연은 광역정전 발생 우려 및 발전제약 등 계통안정도 확보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 수단으로 전력계통 안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KG-ESS가 활용될 전망이다.
KEPCO는 KG-ESS를 체계적으로 확대 적용하고, ESS 운영기술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송변전설비로 활용할 수 있는 ESS의 분야를 기능별로 세부분류하고, 과도 및 전압안정도 개선용 ESS에 관련된 지적재산권 확보(국내외 출원 5건 완료)를 추진했다.
추가로, 한전은 정부의 신재생 3020 비전에 발맞춰 2030년까지의 KG-ESS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완료하고, 고가의 ESS의 활용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ESS 설비가 동시에 여러 가지 목적으로 해당 기능을 통합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을 고도화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발전제약 완화용, 신재생 전원 변동성 대응용 등 용도를 다양화해 국내 계통에 ESS 확대적용 계획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용어설명
과도안정도 : 송전선로 고장 등이 발생하여도 평형상태를 회복하여 송전을 계속 할 수 있는 능력
전압안정도 : 송전선로 고장 등이 발생하여도 기준 전압유지 범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능력
발전제약 :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발전 출력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것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