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현 의원,한빛4호기 원자력 안전 심각
콘크리트벽 약 167cm 감안 10cm 유리벽
같은시기‧기술로 건설 191개 공극 드러나
문재인 정부 탈원전이 '탈안전'정책 변질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전남 영광의 원자력발전소 한빛 4호기 원자로 격납건물에서 157cm 깊이의 초대형 공극이 발견된 가운데 이미 한빛 4호기에서만 97개가 발생 했던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주고 있다.
25일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국회 과기통신위 간사)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국내 원전의 발견 공극 수는 233개에 달하며, 이 중 이번에 문제가 된 한빛 4호기가 97개로 가장 많은 공극이 발견됐으며, 같은 시기, 같은 기술로 건설된 한빛 3호기에서 94개의 공극이 발견, 두 원전 호기에 공극 발생이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수치는 한빛 3,4호기에서 발견된 공극은 191개로, 전체 233개 원전 발견 공극 중 81%에 달한 것으로 확인된 것.
이날 바른미래당 정책회의에서 신용현 의원은 "이번에 논란이 된 한빛4호기에서 157cm 초대형 공극이 발견되며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공극이 발견된 콘크리트 벽 두께가 약 167cm임을 감안할 때 10cm내외 두께의 벽에 우리 원전 안전을 맡기고 있었던 셈"이라 지적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원전, 한빛, 월성 신2호기까지 총 7기가 정비중이라고 밝혔다. |
특히 "이번 문제된 초대형 공극도 처음 발견됐을 때는 깊이가 38cm였고 확대점검 과정에서 157cm로 커진 것을 고려한다면 또 어디서, 어떤 초대형 공극이 발견될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하며, "한빛 3,4호기에 대한 면밀한 특별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빛 3호기 건설은 1989년 6월부터 95년3월, 한빛 4호기는 89년6월~ 96년1월까지 건설됐다.
신 의원은 "이것은 단순히 콘크리트 벽에 구멍이 난 것으로 치부해버릴 문제가 아니라 원자력 안전관리에 심각한 구멍이 난 것"이라며,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계속됐던 해이한 원자력 안전의식이 탈원전을 외치는 문재인 정부에서도 계속되고 있는 것 아닌가 의문"이라고 말했다.
또 "상황이 이런데도 원자력 안전에 큰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 정부의 안전 인식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이 '탈안전' 정책으로 변질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건설에 따른 확보를 위해 이같이 기존을 마련해 투명하게 공개하 겠다고 했다. |
신 의원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라도 탈원전으로 대표된 정부의 원전 정책에 대해 전면적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며 "한빛 3, 4호기에서 발견된 공극과 구멍에 대해 긴급 보수와 면밀한 재점검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용현 의원은 "바른미래당은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적 불안을 해소하는데 노력할 것이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원자력 발전소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초당적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