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 식품 유통여부 감시 차단 노력 필요해
[환경데일리 유혜리 기자]2017년 환경부의 먹는 샘물에 대한 조사에서 6개 제품 중 1개 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해수부 역시 소금안전성조사에서 국내에서 판매중인 외국산 4종, 국내산 소금 2종에서 모두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매일 마시고 먹는 물과 소금, 어류와 조개류에서 연이어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돼 국민들이 이들 제품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2018년 식약처 국정감사에서 식약처의 빠른 대책 능력을 문제 삼았다.
국회 보건복지위 바른미래당 간사인 최도자 의원은 15일, 식품에 대한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결과를 국민들에게 빨리 알려 안전한 식품 선택에 도움을 주고, 오염된 제품의 유통여부를 감시하고 차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수부의 '해양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위해성 연구'사업의 중간 결과, 거제/마산 해역 어류 6종에서 모두 1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서울과 광주, 부산의 대형 수산물시장에서 판매되는 조개류 4종류(굴, 담치, 바지락, 가리비)에 대한 식약처의 미세플라스틱 연구용역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됨에 따라 국민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었다.
미세플라스틱은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으로 바다나 호수로 흘러들어 많은 수중생물을 위협하고 있으며, 특히 150㎛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은 모든 인체기관에 침투가 가능하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최 의원은 "식약처의 목적은 오직 식품에 대한 안전성이다. 숨김없이 빨리 국민들에게 알려야 한다."며, "이것은 국민들이 안전한 제품, 건강한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 당연히 알아야할 권리"라고 강조했다.
최도자 의원은 "소량이지만 꾸준히 섭취하고 있는 것이 큰 문제로 유통 식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와 차단하는 노력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