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1억부터 76억, 521억, 2017년 377억 1,045억
노웅래 의원 "기부금 적시적소에 사용돼야 추후 투명해야"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2018 2월 29일부터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국내 기업들의 찬조 협찬 등 기부현황이 공개됐다.
노웅래 의원이 대기업 기부 리스트를 통해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로부터 받은 일반기업, 공기업, 개인에게서 받은 기부금은 총 1045억 원에 달한다고 29일 밝혀졌다.
기부금 성격과 목적은 후원금과는 달리 대회홍보 및 캐릭터 등 스폰서 계약 없이 순수하게 기탁된 기부금 만을 의미한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노웅래 의원(더불어 민주당, 마포 갑)이 평창 조직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기부금'은 2014년 71억, 2015년 76억, 2016년 521억, 2017년 377억으로 총 1045억 원 규모로 확인됐다.
기부자 명단을 살펴보면 삼성, LG, 한화, 신세계, GS, KT, 현대자동차, 영원아웃도어, 풍산 등 58 곳의 개인기업과 6곳의 공기업, 2곳의 준정부기관, 개인기부 6건, 사단법인 기부 1건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이 어떤 항목에 쓰이도록 하는 세부 기부내역은 IOC와 후원계약서 상 비밀유지 의무 조항에 의거 비공개됐다.
공기업으로는 한국관광공사(1억), 한국감정원(1억), K-water 한국수자원공사(3억), GKL 사회공헌재단, 주택도시보증공사(1억), 물사랑나눔단 등 6곳이 기부했다. 전 지적공사인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준 정부기관 등도 기탁에 참여했다.
총 89건의 기부내역 중 현금은 77건, 상품권 등 현물은 12건이었다.
한편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한진그룹 회장이 박근혜 정부에서 불협화음으로 조직위원장에서 물러나면서 내부 안팎으로 잡음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메인스폰서로 참여해 조직위에서 업무지원을 했던 관계자는 "예상했던대로, 내부의 조직은 각각 따로 따로 업무로 이어지고 의사소통이나 업무에 대한 진취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였다."며 "친환경 평창동계올림픽을 지향해야 하는데 비품 등을 용품에서부터 현물 등 영수증 처리 투명성 의문과 절약이 없이 흥청망청 쓰는 것을 볼 때 이해할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또 홍보지원에 나선 대기업 중견임원은 "한진그룹 직원들과 문체부, 체육계 관계자, 서브스폰서 업무협약을 맺은 파견직 사람들과 냉랭한 분위기는 지울수 없고, 보이지 않는 갑질도 크고작은 형태로 작동되고 있다."고 폭로했다.
강원도민들은 우려의 목소리도 줄어들이 않고 있다.
강릉, 평창 등지에서 종목별로 치뤄지는 경기장에 따른 후속조치가 전혀 없어, 올림픽이 끝난 후 경기장만 남게 되는데 시설유지 등 비용에 따른 예산낭비가 불보듯 뻔해 걱정스럽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