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원 노후오토바이, 전기오토바이로 교체 보급 확산
제작사 자발적 기술 개발 2022년까지 연간 1만5000대 확대
르노삼성, 대창모터스, 쎄미시스코, 에코카 등 공급 박차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중 하나인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겠다"는 환경정책이 현장에 적용됐다.
바로 '도시 대기오염원인 노후오토바이'를 '친환경 전기오토바이 보급, 확산' 지원이다.
이와 관련, 19일 환경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두 부처가 광화문 우체국에서 '친환경 배달 장비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양 기관은 미세먼지 저감 차원에서 우체국에 3월부터 시범 사업을 통해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기술성 검증 및 현장 집배원의 의견을 듣고 2020년까지 전체 배달장비 1만5000대의 67%인 1만대를 친환경 배달 장비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은 친환경 배달 장비 확대를 위한 양 기관의 협약 서명과 우체국 시범 운영 발대식에 이어 친환경 배달 장비 전시 및 퍼레이드가 진행됐다.
현장에는 르노삼성의 트위지 등 초소형 전기차 3종과 그린모빌리티의 발렌시아 등 전기 이륜차 5종이 전시됐다.
또한 양 부처의 장관과 집배원들이 광화문 우체국 주변에서 직접 시승도 했다.
환경부는 2012년부터 전기 이륜차 구매 시 250만원의 구매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스쿠터 이륜차 운행으로 발생되는 환경오염 문제 등은 사각지대로 방치돼왔다.
이들 이동수단은 도로이동오염원 중 일산화탄소(CO),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 오염물질 배출 비중(CO 18.6%, VOC 8.6%)이 커 운전자는 물론 인도 보행자 등 주변사람들까지 폐암,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위해성이 높았다.
환경부는 전기 이륜차 보급 확대를 중요 추진과제로 삼고 지난해 5월부터 관련 전문가 및 이해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 개선 방안을 논의해왔다.
전기 이륜차 제작사의 자발적인 시장참여 및 기술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2022년까지 연간 보급대수를 1만5000대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전기 이륜차의 차종·성능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해 보조금을 현실화해 업체들의 성능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정부합동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에서 2022년까지 전기 이륜차 5만대 보급 계획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전기이륜차의 보급 확산에 긍정적이다.
먼저 성능이 과거에 비해 대폭 개선되고 초소형 전기차와 전기 이륜차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져 친환경 배달 장비 보급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초소형 전기차와 전기 이륜차의 경우 제작사가 중소기업인 경우가 많고 구매자도 주로 서민들이 많아 보급이 확대될 경우 신규 일자리 창출 및 복지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률 대기환경정책관은 "최근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이륜차에 대한 관심도 새롭게 커지고 있다."며 "우체국 등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친환경 배달 장비가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