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문화심장터 100만평 프로젝트 완성 기대
일제강점기 폐성령 철거 문헌 속에서나 만날 수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조선시대 전주부성 복원이 시작됐다.
전주시가 일제강점기에 철거된 조선시대 전주부성(全州府城)을 체계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발굴조사에 나선다. 전주부성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사업은 이번이 처음으로, 향후 전주부성 복원을 통해 구도심 아시아 문화심장터 100만평 프로젝트의 완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9월부터 12월까지 전주부성을 체계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전주부성 옛 4대문 안 주변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시굴 및 정밀발굴조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려 말 전라감사 최유경이 처음 쌓은 것으로 알려진 전주부성은 1734년(영조 10년) 전라감사 조현명에 의해 대대적으로 신축됐으나 일제강점기 폐성령에 의해 철거된 이후 일부 흔적만 남아 문헌 속에서나 만날 수 있었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그동안 고지도 및 문헌자료에 의존해 추정해온 조선시대 전주부성의 문지와 성곽의 구체적인 위치와 규모, 축조방법 등을 밝혀내 전주부성을 복원하고 정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최대한 전주부성의 흔적을 찾는데 주안점을 두고 시굴조사를 실시한 후, 유적이 확인된 곳은 정밀발굴조사를 통해 그 실체를 확인하는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우선 고지도 및 각종 문헌자료들을 수집·분석한 후, 문지로 추정되는 동문사거리와 오거리광장, 서문파출소 등 3개소와 성곽 라인 및 성곽시설을 확인하기 위한 54개소의 트렌치 조사를 통해 전주부성과 관련된 시설물의 잔존양상을 조사키로 했다.
한편, 1734년 전라감사 조현명에 의해 신축된 전주부성의 규모는 둘레 2618보, 높이 20자, 치성 11곳, 옹성은 1곳이 있다고 전하며, 문과 문사이의 거리를 보면 남문으로부터 동문까지 627보, 동문으로부터 북문까지는 697보, 북문으로부터 서문까지 733보, 서문으로부터 남문까지는 561보였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