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구조 크게 개선 부채비율 100% 미만 낮춰
현대중공업 분할 재상장 위한 상장예비심사신청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현대중공업, 쪼개고 쪼개서 생존 길으로 찾는다.
현대중공업은 15일 전기전자와 건설장비 등 비(非) 조선 사업 부문을 모두 분사해 6개 독립회사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기존 현대중공업을 조선을 비롯 해양, 엔진, 전기전자, 건설장비, 그린에너지, 로봇, 서비스 등 6개 회사로 분리하는 사업분사 안건을 의결통과시켰다.
현대중공업은 그룹은 크게 4개 사업구도로 핵심주력분야인 조선 해양 엔진 부문, 정유·에너지 부문, 전기전자 부문, 건설장비 부문으로 새판을 짜게 됐다.
이렇게 될 경우 각 부문별 소속된 회사들이 독자경영 체제를 운영되게 된다.
그룹은 그동안 비주력사업을 정리하는 데 주력했고 각 부문별 핵심사업을 적극 육성하는데 모든 역량을 모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중공업은 그동안 현대종합상사, 현대기업금융, 현대기술투자, 현대자원개발의 계열분리했다.
그중 현대아반시스 매각하고 호텔사업 역시 독립경영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내지 못한 현대커민스, 독일 야케법인, 중국 태안법인 청산 또는 비주력사업 흡수 등 정리를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인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사업재편 배경에 대해 "현대중공업그룹내에 몸집에 비해 상호 연동적인 시너지가 부족했고, 내외부 영향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탄탄한 구조가 불충분했다."면서 "그룹의 핵심은 조선을 살리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또한 "그룹내 계열사 분사에 따른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계획의 마지막 단계만 남았다."면서, "이를 선제적으로 실천하고 더불어 대외신인도 제고와 미래 경쟁력 확보한다면 재도약의 기틀을 확보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제2의 창업'임을 거듭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이번 사업재편을 통해 기존 차입금을 분할되는 회사에 나눠 배정함으로써 현대중공업의 재무구조를 크게 개선시켜 부채비율을 100% 미만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이번 6개 독립회사 중 규모가 큰 조선 해양 엔진, 전기전자, 건설장비, 로봇 등은 분사된 회사에 차입금 배정이 가능한 사업분할 방식으로, 규모가 작은 그린에너지, 서비스 등은 현물출자 방식으로 분사된다.
이날 현대중공업은 최길선, 권오갑 각자 대표이사에서 권오갑, 강환구 각자 대표이사로 변경한다고 공시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이사회가 끝나자마자 분할 재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