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시장 인터넷 데이터센터 성장 서버용 제품 중심 급증
스마트폰 보급 확산 중저가폰 사용자 늘어 D램 수요도 껑충
제품 전과정 환경부하 최소화 환경친화적 설계 기법적용 한몫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SK하이닉스의 경영실적이 당분간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같은 근거는 2017년 사상 최대 경영 실적을 갈아치웠기 때문이다. 특히 2018년 반도체 시장 역시 더욱 활기를 띄어 2017년 전체 매출액을 3/4분기에 앞서서 달성할 것이라는 조심스런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결과물도 매출과 연결되고 있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연간 매출액 30조1094억 원, 영업이익 13조7213억 원, 순이익 10조6422억 원으로 모든 부문에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4분기에 매출액 9조276억 원, 영업익 4조4658억 원, 순익 3조2195억 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으로도 전 부문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K-IFRS 기준)
지난 해 메모리 시장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의 성장에 따라 서버용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는 급증한 반면, 미세공정 전환의 어려움과 공급 업체들의 투자 부담으로 공급 증가는 제한된 모습을 보였다.
4분기 또한 서버용 제품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모바일 제품의 가격도 상승하면서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됐다.
4분기 D램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3% 증가했고, 전 제품군에 걸쳐 가격이 고르게 오르며 평균판매가격은 전 분기 대비 9% 상승했다. 낸드플래시 출하량은 모바일 제품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16% 증가했고, 평균판매가격은 MCP 등 모바일 제품의 가격 강세로 전 분기 대비 4% 상승했다.
올해 D램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작년에 이어 서버용 제품이 수요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도를 비롯한 신흥시장에서의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중저가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업그레이드에 따른 D램 수요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 측면에서 업체들의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공정 전환에 소요되는 기간 증가와 제한적인 생산량 확대로 견조한 수급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낸드플래시 시장은 SSD가 수요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업체들이 고용량 3D낸드 생산을 본격화함에 따라, Enterprise SSD에 집중됐던 3D낸드 공급이 올해는 Client SSD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중저가 스마트폰들의 기기당 탑재량 증가도 수요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 측면에서 3D 기술 전환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겠지만, 전반적으로는 업체들이 3D낸드 비중을 확대해나가면서 공급 부족 상황이 점차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SK하이닉스는 서버와 SSD 제품을 중심으로 신규 공정을 확대 적용해, 성장하는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D램은 작년 말 PC 제품부터 양산을 시작한 10나노급 제품을 모바일과 서버까지 확대 적용하고, HBM2와 GDDR6 등 신제품 공급을 통해 고성능 제품군까지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방침이다.
낸드플래시는 72단 3D낸드의 비중 확대를 통해 Enterprise SSD 시장에 본격 진입하는 한편, UFS를 비롯한 차세대 솔루션 제품 판매 확대로 모바일 시장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으로 환경경영에 초점을 맞춘 에코 디자인(Eco-design)화된 제품도 매출과 직간접적인 영향권이 두고 있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에코디자인은 제품의 개발단계에서 경제성, 품질 등의 기존 설계요소와 함께 환경측면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제품 전과정에 걸친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환경친화적 설계 기법 역시 더욱 강화해 적용하고 있다.
2010년 하반기부터 에코디자인 TF를 구축 ▲자원사용 ▲에너지효율성 ▲유해물질 ▲재활용 분야에서 체크리스트, 가이드라인,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2012년부터 KEITI 환경산업기술원에서 주관한 '에코디자인 진단지도' 정부 과제에 동참해 에코디자인 가이드 라인을 개발했다.
SK하이닉스 환경경영 책임자는 "우리의 높은 제품 성능 사양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에코디자인 활동을 통해 친환경제품 개발과 양산 투자에 R&D 시스템을 게으르지 않게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한편 2017년 배당은 전년 대비 주당 배당금을 67% 상향해 주당 1000원의 현금 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