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생태명산 금강산 권역 26만2589ha 지정
설악산, 제주도, 다도해, 광릉숲, 고창 등 총 6곳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우리나라는 순천만을 품고 있는 순천시 전체, 북한은 금강산이 뒤 늦게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됐다.
![]() |
람사르 습지로 등록된 순천만이 자리 잡고 있는 생물권보전지역은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생태계를 보유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됐다.
환경부는 25일 인도네시아 팔렘방에서 열린 제30차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계획 국제조정이사회에서 순천시 전역과 북한 금강산 권역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순천시 전역이 생물권보전지역에 포함됨에 따라 국내 생물권보전지역은 설악산, 제주도, 신안 다도해, 광릉숲, 고창 등 총 6곳으로 늘었다.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면적은 총 9만 3840ha(헥타르)로 순천시 전역에 해당한다. 순천시 내에서도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순천만과 동천하구, 조계산 도립공원은 핵심구역으로 지정됐다.
이번 유네스코 국제조정이사회는 금강산도 생물권보전지역로 선정시켰다. 앞서 북한내 백두산, 구월산, 묘향산, 칠보산을 생물권보전지역을 지정됐다.
금강산 생물권보전지역 면적은 모두 26만2589ha로 금강산 전역의 산림과 습지, 연안, 동해안쪽 해안선 까지 포함됐다.
유승광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이번 유네스코 선정 의미에 대해 "순천시는 그동안 지역사회가 순천만 보전을 위해 민관이 함께 꾸준한 노력을 해온 결과물"이라며 "순천의 생물다양성 보전가치를 국제적으로 알리고 지역주민 참여를 독려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순천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토론을 거쳐 순천 생물권보전지역 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지역생산품의 고부가가치 브랜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