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연구위원, 전무, 상무 신규선임 등 총 22명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2018년 석유화학산업계의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안갯속이 예상되지만, 사업 경쟁력을 위해서는 인재 적재적소에 배치를 최우선을 꼽았다.
LG화학이 30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사장 승진 1명, 부사장 승진 2명, 수석연구위원(부사장) 승진 1명, 전무 승진 6명, 상무 신규선임 10명, 수석연구위원(상무) 신규선임 2명 등 총 22명의 2018년 임원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LG화학은 이번 인사의 특징에 대해 △성과주의 기반 승진 인사 △미래준비 위한 제조/R&D인재 중용/발탁 △탁월한 성과 창출한 여성인재 및 외국인 임원 선임을 통한 다양성 제고/글로벌 조직역량 강화등 사업구조 고도화 관점에서 미래준비를 위한 본원적인 사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인사라고 밝혔다.
특히 현재 재료사업부문장을 맡고 있는 노기수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중앙연구소장으로 보임해 기반기술/미래기술/분석 등 R&D 성과창출에 전념하게 된다.
노기수 부사장은 일본 미쯔이 출신의 화학공학박사로 2005년 영입 후 고무/특수수지사업부장, 기능수지사업부문장 등 기초소재의 주요 사업책임자를 경험했으며 2015년부터 재료사업부문장 직책을 수행하며 자동차전지용 양극재 및 디스플레이용 OLED재료의 개발등을 통해 재료사업 안정화 및 성장기반을 구축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15년에 기술연구원 미래기술센터로 영입된 이진규 수석연구위원(전무)이 무기소재분야 R&D 역량 강화에 기여한 성과에 따라 3년만에 수석연구위원(부사장)으로 승진했다.
무기나노소재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이진규 수석연구위원(전무)은 서울대 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던 2015년 2월 미래준비를 위한 세계수준의 R&D인재 확보에 열중하던 경영층의 노력으로 LG화학에 입사 후, 전사 차원의 R&D역량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함께 LG화학은 현재 자동차전지·개발센터 최승돈 연구위원을 2단계 발탁 승진을 통해 자동차전지·개발센터· 셀(Cell)개발담당으로 보임했고 LG화학 최초 외국인 임원으로 현 중국남경법인 광학소재생산담당 주지용 상무를 신규선임 했다.
뿐만 아니라 분석전문가인 현재 중앙연구소.분석센터장 조혜성 상무를 LG화학 최초 여성 전무로 승진시켰으며, 코팅전문가인 중앙연구소·기반기술연구센터 장영래 연구위원을 수석연구위원(상무)으로 신규선임하는 등 성별, 국적을 가리지 않고 탁월한 성과와 역량을 갖춘 인재를 발탁해 미래준비를 한층 강화했다.
한편, 사업본부장 보임과 관련, 신임 전지사업본부장에 현 전지사업본부 자동차전지사업부장인 김종현 부사장이 선임됐다.
◇LG화학 2018년 임원 승진
사장 △노기수 중앙연구소장
부사장 △정찬식 ABS사업부장 △유지영 재료사업부문장
수석연구위원(부사장) △이진규 중앙연구소·미래기술연구센터
전무 △이종구 PVC/가소제사업부장 △최승돈 자동차전지.개발센터.Cell개발담당 △김동명 소형전지사업부장 △홍영준 Display재료사업부장 △권영운 중앙연구소.미래기술연구센터장 △조혜성 중앙연구소.분석센터장
상무 신규선임 △박기순 △정필련 △송병근 △이경열 △김준효 △안민규 △김장순 △주지용 △문준식 △이상옥
수석연구위원(상무) △이희봉 △장영래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