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 완료시 아황산가스 발생량 88.4% 줄어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가 2019년까지 대기환경 개선에 1521억원을 투자한다.
한국동서발전 박희성 사장직무대행은 13일 울산시청을 방문, 김기현 시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울산화력본부는 기존 기력발전설비(400MW/h×3기)의 고황유(B-C, S 2.59%)를 바이오중유(S 0.03%)와 저황유(B-C, S 0.3%)로 교체해 고황유 배출량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고황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시설 특성상 재가동 시 안정화 운전에 도달하기까지 최초 버너점화로부터 약 5시간 정도는 황산화물(SOx) 및 질소산화물(NOx)이 현행 배출허용기준인 150ppm의 2배를 초과하는 최고 300ppm을 배출한다.
![]() |
▲산업수도 울산. 하늘도 강도 맑은 그린시티이자 녹색산업의 글로벌 거점도시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울산화력 전경 |
2019년까지 총 1521억원(시설비 77억원, 연료전환 추가비용 1444억원)을 들여 저녹스버너 설치, 바이오중유 혼합연소설비 구축, 탈황 탈질 추가 방지시설 증설 등을 추진한다. 개선사업이 완료되면 울산화력본부의 아황산가스 발생량은 88.4% 줄어든다.
시의회는 "그러나 현행 법령상 배출시설별 배출허용기준 초과 인정시간 적용(9시간 동안 인정)으로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대기배출을 규제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울산시의회는 지난달 울산화력본부에 대한 환경부의 관리 강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 자리에서 박학천 울산시의원은 "울산화력본부에서 발생한 악취로 올 6월과 7월 지역주민들이 고통을 받았다"며 결의안을 발의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