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및 산사태 공간영상지리 정보시스템 점검 필요
과학적 국토관리 미흡 국민 정신・육체・경제 고통줘
조 의원 "반복 재해, 공간영상정보시스템화 시급"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지구 대기권에 쏟아올린 위성을 나두고 제대로 활용못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 |
▲조명희 의원 |
이번 강한 비가 기후위기시대의 경고라는 설득력있는 주장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환경전담위성까지 쏟아올려놓고 있는데 한반도 전역의 수자원 현황과 재해를 폭넓게 관측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주장은 조명희 미래통합당 의원(과학기술방송통신위)이 주장이다. 11일 보도자료를 통한 조 의원은 "'역대 최장'이라는 장마로 인해 9년 만에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우리 국토의 훼손으로 인해 국민들에게 고통을 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첨단 ICT 기술보유한 나라답게 위성을 활용한 과학적 국토관리 시급성을 언급했다.
10일 오전 기준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집중호우 관련 시설피해는 총 1만7879건에 달한다. 지난 주말 남부 지방에서 500㎜가 넘는 물폭탄으로 낙동강과 섬진강 제방이 붕괴되고 화동군 화개장터가 32년 만에 침수되기도 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중 하나인 태양광 발전소 난개발로 인한 산지태양광발전소 12곳에서 산사태와, 농경지 침수로 인해 1년 농사가 헛수고로 돌아갔다. 거기다 집까지 물이 들어와 당장 의식주가 필요한 이재민들은 8000여 명이 달한다.
조명희 의원은 "복합재해는 매년 되풀이되지만, 발생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적으로 관리하지 않는 시스템이 첫 번째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발언 배경을, 행안부와 기상청 등은 매년 홍수 예방 및 수해 복구에 수천억 원에서 1조원 이상, 평균적으로 연간 3200억여원의 예산이 쓰고 있다.
조 의원은 "예산의 효율성이 미진해 과학적인 원인 조사 및 분석 등의 노력이 부족하다."면서 "정부는 자연재해로 인한 위협이 과거보다 강력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국민들의 안전은 위협받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 위성으로 한반도 전역의 수자원 현황과 재해를 폭넓게 관측할 수 있는데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수재해 발생 위험지역의 경우, 피해특성 분석 및 피해지역을 '영상지도 형태의 이미지'로 보여줘 보다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대응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위성정보의 활용을 촉구했다.
조 의원은 또 "반복되는 재해는 결국 인재에 해당한다."며 "하루 빨리 항공사진, 위성, 드론 등을 활용해 재난 취약성에 대한 모니터링, 신속한 예・경보 발령 및 전달 등 과학적인 국토관리가 필요하다."며 그 대안으로 공간영상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국토 관리 시급성을 토로했다.
또 "피해 복구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선제적 대응을 통해 국가 재해관리체계를 혁신하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위성정보의 활용으로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 것이 절실하다."며 주장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