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매각설 일축', 비주력사업 정리라고 밝혀
국내외 탈핵시장 영향권, 신에너지 전환도 만만치 않아
▲두산중공업 매각설이 나오면서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을 보인 주식 시장에서 한때 대폭 하락하기도 했다. |
탈원전의 흐름은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에서 만지작 거리는 퇴보하는 사양산업으로 분류된 지 벌써 5년이다. 동일본 후쿠시마 원전폭발로 인해 15만명이 사망자를 낸 후유증을 봉합하기는 인간과 현존 기술력으로는 감당하기 힘들다는 중론이다.
본지는 현재 동경전력 관계자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일본의 원전 산업 방향키를 돌리는 입장'이라고 언급했다.
부이사급 임원 그는 "일본 동경전력은 지난해 원전사고이후 발생되는 10년동안 수습비용(100조엔)으로 넘겼고, 국민들의 요구도 타 산업, 친에너지(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투자하는 쪽으로 바람이 커진 것이 변화된 에너지정책"이라고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 핵연료에 대한 사회적 간접비용(영구봉합)과 자연재해(지진, 해일, 화산폭발 등)의 예측불가능한 상황에서 원전산업이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도와 사고후 수습 비용은 국가 경제를 파탄을 내모는 파탄의 용광로인 '탈핵절벽론'을 떨어뜨려야 한다."는 내부 의견도 나왔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전산업의 상위 톱을 지켜온 두산중공업 매각설은 우연히 아니라는 것 시각이다.
물론 두산중공업은 보도이후 곧바로 "(매각)전혀 사실 아니다."고 반박했다.
두산그룹의 중추적인 사업을 이끌어온 두산중공업 매각은 '사실무근'이라고 해도 언젠가는 버려야 할 카드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설득력이 뒷받침된다.
박근혜 정부까지만 해도 두산중공업은 국내 삼척 등 추가 원전건설을 위한 중장기적인 프로젝트에 따라 내부 조직을 (유지)이끌어 왔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탈핵원칙론이 굳어지면서, 수백여명, 협력사 업체 50여개사를 포함 5000여 명이 생계가 휘청거린 점이 경영부담으로 작동됐다.
17일 두산그룹은 공식적으로 매각설과 관련 "사실무근"이라는 이날 오전 공시를 통해 "두산중공업 매각은 검토한 적도 없고, 추진할 계획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주)두산이 최대주주인 두산중공업은 두산그룹의 사업은 물론 지배구조 측면에서도 핵심 주력사다. 지금까지 두산중공업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원천 핵심부품인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등 주기기를 생산 납품했다.
두산중공업 지분 구조에서 나타난 것처럼 두산건설과 두산인프라코어, 두산엔진 등 그룹 주요 계열사 모두가 원전산업 비중에 60%를 두고 있다. 두산그룹은 두산밥캣도 둘 정도로 원전사업 비중에 한참 기울기게 켰다.
두산중공업 영업보고서 자료에서 두산그룹 전체 매출의 30% 가량을 차지했다.
두산중공업 매각설과 관련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회사내 냉기가 흐른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매각 단계까지 갈 상황은 아니다. 우리의 해수담수화 등 친환경 해외플랜트발전 사업이 활기를 띄고 있어 올해가 사업전환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다만 사업포토폴리오 수정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주)두산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그룹내 비주력 계열사나 비핵심 자산 매각 추진으로 내실경영에 박차를 가하도록 올 신년청사진이 구축해 준비중"이라고 "두산중공업 매각은 아니다."고 거듭 밝혔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두산중공업 매각설)사기업에 입장을 대변할 수는 없지만, 원전산업이 안팎으로 대폭 수정중이라 현재 언급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