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 원가절감 영업익 4.4% 상승
향후 해외 대형공사 및 국내 주택 수주 통한 성장 확보
![]() |
현대건설은 27일 올해 3분기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0.2%) 감소한 13조 4386억원, 영업이익은 4.4% 증가한 7507억원, 당기순이익은 6.8% 감소한 3903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실적은 매출 4조 4641억원, 영업이익 2751억원, 당기순이익 135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4.1% 증가했으나, 매출과 당기순이익은 각 5.2%, 16.8%로 감소했다.
현대건설은 국내외 대형 현장의 매출 확대와 해외 부문에서의 지속적 수익성 개선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했다.
쿠웨이트 자베르 코즈웨이 해상교량 공사, UAE 원자력발전소 등 해외 대형 현장의 본격적인 진행과 현대케미칼 혼합 자일렌 공사, 경기도 광주 힐스테이트 태전 등 국내 현장의 매출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해외 부문 수익성의 지속적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해외 부문 원가율을 1.0%p 개선하면서 영업이익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원화 강세 및 과징금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또한 현대건설은 미청구공사를 지속적으로 낮추며 시장 신뢰를 확대해 가고 있다.
![]() |
▲현대차그룹의 서울 강남구 삼성동 GBC(Global Business Center) 부지 개발 조감도 자료제공 서울시 |
3분기 미청구공사 금액 3조 6089억원은 전년 말 4조 2658억원 대비 6568억원이 줄어든 수치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은 별도 기준으로 영업현금흐름이 전년 동기 대비해 2739억원 개선된 3592억원을 기록했다.
현대건설은 지속적인 원가절감 및 재무구조 개선으로 유동비율은 전년 말보다 7.7%p 증가한 174.8%, 부채비율은 전년 말보다 11.4%p 개선된 148.3%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이어가고 있다.
수주는 저유가 여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9% 감소한 11조 8777억원을 기록했다.
현대건설은 쿠웨이트 알주르 LNG 터미널 등을 수주하며 중동지역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4분기에는 사우디·에콰도르 등에서 대형 공사 수주가 기대되고 있어 수주 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3분기 말 현재 수주잔고는 65조 515억원을 확보하고 있다.
향후 현대건설은 해외 중동 및 신흥시장의 대형 공사와 국내 현대차 사옥(GBC) 및 주택 수주 등을 통해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해외 부문에서의 지속적 수익성 개선과 미청구공사의 대폭 감소 등으로 시장 기대에 부응하는 안정적인 실적을 달성했다."며, "이는 양적 성장보다 수익성 중심의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춘 결과다."고 했다.
한편 서울 강남구 삼성동 167번지 옛 한국전력공사 부지 7만3941㎡ 부지에 105층 초고층 업무용 시설(사옥)을 포함해 호텔과 오피스, 전시장/컨벤선센터, 문화 예술 공간, 공장, 판매시설 등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같은 건축모델은 독일 볼프스부르크에 위치한 폴크스바겐의 본사 아우토슈타트처럼 비즈니스와 관광 문화 컨벤션 복합 공간인 응용한 건축물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14년 9월 실시된 부지 매각 입찰에서 예상가의 3배에 이르는 10조5500억원이라는 파격적인 금액을 써내는 등 공을 들이고 있다.
현대건설 입장에서 자회사인 현대차 사옥 프로젝트 참여해 적극적인이다. 그러나, 입찰 과정이 치열하기 때문에 장담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일감몰아주기식, 입찰가에 대한 부담감과 더불어 대우건설, GS건설, SK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치열한 경쟁구도를 물릴 칠수 있는 차별성을 어떤 식으로 표출할 지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동종업계에서는 "모기업 신사옥에 입찰가 덤핑으로 결국 곶감빼먹는 식의 크게 남는 사업이 아닐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