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건설 반대로 지역갈등 하나로 통합 차원 행정강화
신재생에너지 사업 목표 2020년까지 총 200㎿급 건설
![]() |
삼척시는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대신해 태양광발전소를 짓는다고 밝혔다.
시는 원자력발전소 대신 추진할 신재생에너지 자립도시 건설을 선도하겠다는 의지 표명을 최근 밝혔다.
삼척시가 내놓은 청사진은 350㎾급 태양광발전소다. 발전소가 들어설 위치는 삼척시 등봉동 공설묘지 주차장이고, 총사업비는 12억 원이다. 본격적인 사업 착공은 오는 7월에 시작, 12월 완공을 목표로 잡고 있다.
삼척시 관계자는 "기존 공공건물 등 설치한 자체 소비용이 아닌 판매용이다"며 "전기 판매 수입을 연간 9300만 원으로 예상된다"면서 "시가 직접 건설하는 태양광발전소가 민간사업자 투자 촉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목표는 태양광, 풍력 등 2020년까지 총 200㎿급 건설이다.
![]() |
▲삼척그린파워 3·4호기 증설이 요구되고 있는 남부발전 종합발전단지 |
앞서 지난해 5월에 한화큐셀 컨소시엄과 100㎿ 규모의 삼척 태양광발전단지 구축사업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현재 민간자본으로 62개소, 총 25㎿급 규모의 태양광 발전사업이 추진 중이다.
삼척시 관계자는 "올해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본격 육성의 해이고, 시가 시범사업으로 직접 추진하는 태양광발전소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의지의 하나"라고 원전건설 반대에 거듭 확인했다.
최근 삼척시는 제20대 국회의원 당선자 초청 도·시·군 현안 토론회에서 삼척원전 건설을 백지화하는 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등 5개 지역 현안이 관철될 수 있도록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
![]() |
▲김양호 삼척시장<사진제공 오마이뉴스> |
김양호 삼척시장은 "지역 최고 이슈가 원전 백지화"면서 "가장 민주적인 의사결정 방식인 주민투표로 주민 85%가 원전을 반대한다는 민의를 확인했고, 원전문제는 향후 50년, 100년을 먹고 살 강원도의 가치를 훼손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당선자 모두 힘을 모아 백지화를 이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철규 당선자는 "원전 문제는 삼척-동해만의 문제가 아닌 강원도 전체의 문제라고 인식하고 접근해야 한다"며 "강원도가 갖고 있는 청정 이미지가 사라질 수 있는 만큼, 모든 당선자가 각자가 소속돼 있는 정당에 원전 반대 의견을 개진하고 노력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 시장은 원전 문제와 관련, "그동안 추진상황을 설명한 뒤 주민투표 결과 85%의 원전유치 반대의견이 도출됐고, 주민 수용성이 가장 우선돼야 하는 국책사업인 만큼 정부가 민의를 적극 수용해야 한다"면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삼척원전 건설사업이 배제되거나 전원개발사업 예정구역 지정고시가 해제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확대하고 있는 반면 변전소 수용용량(계통연계)이 부족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할 수 없는 변전소가 삼척시 도계읍 등 전국 13개소에 이르고 있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른 변전소 수용용량 조기 확대가 절실하다고 건의했다.
특히 김양호 시장은 "원덕읍이 LNG생산기지, 화력발전소 공정이 90%를 넘어서면서 지역경기가 침체되고 있어 삼척그린파워 3·4호기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기존 주장을 확고하게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