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물 세상 위한 상생협력'으로 대전서
166여 개사 505개 부스 물산업 분야 향연
대통령 표창 도화 문정현, 에코피스 채인원
총리 표창 준엔지니어링 김재구 공동대표
강기정 협회장 "선제적 투자, 연구, 노력 필수"
이장우 시장 "기후변화로 물 위기 받고 있어"
미, 영, 핀란드 등 기관 초청, 물 트렌드 공유
대전시, K-water 물산업클러스터 조성 선언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석유 블랙골드시대 가고 블루워터시대를 연다."
한국상하수도협회(협회장 강기정 광주광역시장)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산업 분야 전문 전시회인 국제물산업박람회를 20일 개막했다.
22일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대전광역시와 한국상하수도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후원참여는 환경부, 행안부, K-water,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KOTRA, K·BIZ, 해외건설협회,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등이 힘을 보탰다.
올해 21회째인 박람회는 물산업 활성화를 위해 협회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는 전시회로 기업 150개사, 전시부스 500부스 이상 규모로 개최해 오고 있다.

2024년도 키워드는 '맑은 물 세상을 위한 상생협력'을 기반으로 166개 기업이 505개 부스 규모로 참가하는데 관류, 밸브, 펌프, 수처리설비, 계측기, 측정기기, 스마트 상하수도 관련 기술 등을 출품할 예정이다.
전시회는 3개의 공동관과 1개의 기획전이 조성되는데 공동관은 K-water, 한국환경공단, 경기도가 주관해 전시참가비의 일부를 지원하며 관련기업들을 박람회에 참가시키게 된다.
해외 수출실적을 보유한 기업들을 별도로 모아놓은 '수출기업관'조성되는데 물산업 수출을 장려하고 독려하는 취지에서 특별관으로 조성됐다.
20일 11시 열린 개막식에는 주최측인 강기정 상하수도협회장은 개막기념사에서 "석유가 황금알을 낳는 시대인 블랙 골드의 시대에서 이제는 블루골드의 시대가 찾아왔다."고 말했다.

특히 "블루골드 시대는 기후위기에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 전 세계의 지구의 지속 가능성의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블루골드의 시대가 찾아온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이런 물산업 분야 등 글로벌 경제 침체 속에서도 연평균 4.2%의 성장을 성장으로 커가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국내 산업 분야의 매출액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는 점이 정부라든가 지자체의 고민"이라며 "무엇보다도 정부와 지자체가 선제적 투자, 선제적 연구, 선제적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지난해 호남권, 경상권, 충청권까지 심각한 가뭄으로 해외 저수율이 10% 미만까지 떨어지는 지경이 왔다."며 "특히 도시침수사태에 많은 생명을 앗아갔다."며 생명의 위협성을 곧 물의 위기라고 했다.
이 시장은 "이번 워터코리아를 통해서 관련된 환경부 기업, 또 전문가 중심으로 저희가 협업을 해야 될뿐더러 법 제도 개선을 통해서 물 분야의 정치인들도 같이 참여해서 이러한 속도감 있는 그러한 변화에 대처해야 된다."고 생각을 감추지 않았다.

독고석 국회물포럼 부회장은 축사에서 "저희 국회물포럼은 2018년에 물관리 기본법 통과를 시작으로 5년간의 26차례에 걸쳐서 여러 물 관련 정책 포럼을 진행해 왔다."고 소개했다.
또한 "지난해에 오성 참사 이후에 (노웅래 환노위 법안)도시 침수과와 같은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물 관련 정책 개발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자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독 부회장은 "총선이 끝나면 저희가 다시 조직을 재정비해서 지금 닥쳐오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물 관련 협력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워터코리아는 전시회 참가기업하는 모든 정보를 한 눈에 받아볼 수 있도록 온라인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다.
전시회뿐만 아니라 30여 건의 부대행사가 동시에 진행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수출상담회는 해외 유망바이어 50개사를 초청, 300여건의 현장상담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구매상담회'를 통해서도 국내 발주처와 상담 기회를 제공해 판로개척을 지원하게 된다.


그외 물산업 일자리·대전지역 녹색산업 HRD 활성화 특별세미나,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학술발표회, 한국지방자치학회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시대 물관리 정책세미나, 세계 물의 날 기념 세미나, 금강유역물관리위 유역물관리 포럼 등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를 동시 개최 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개막식, 상하수도인의 밤 등의 교류행사, 상하수도 시설(월평정수장, 대전공공하수처리시설) 견학, 대전광역시 소재 기업(㈜삼진정밀, ㈜부강테크) 견학, 전시장 투어 등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진행 될 예정이다.
22일 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을 기념, 환경부에서 세계물의 날 기념식을 1전시장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