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21년부터 3년 6608명 대상
연령대 낮을수록 성인 비해 농도 다소 높아
환경유해물질 64종 체내 농도 국가통계 공표
쓰레기 시멘트 유해성, 조리흄, 첨단소재 공백
시민사회 기초조사대상 3배로 늘려야 신빙성
조선, 반도체, 시멘트, 석유화학 등 조사 정밀해야

환경오염물질로 인한 국민 건강은 안녕할까요.? 이런 우려와 염려 속에 매년 일부 시민들을 대상으로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를 실시해오고 있다.
그러나, 결과치를 보면, 그리 단순하게 드러나지 않는 수치값으로 안전권이 든다고 볼수 없는 상황이다.
이미 직업병 관련 산재를 줄지 않고 있고, 나타나지 않는 유해성물질 노출(누출)로 희귀병 질환을 줄지 않는 것도 그 반증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환경과학의 중심 기관인 국립환경과학원은 우리 국민의 환경유해물질 체내 농도를 확인했다.
이번 조사는 제5기(21~23년) 국민환경보건 기초 결과물이다.
환경과학원은 2021년부터 3년간 전국에서 표본 추출한 250개 지역(읍면동 수준)과 190개의 보육·교육기관이다.
3세 이상 초중고 성인까지 총 6608명의 혈액 및 소변을 채취하고, 환경유해물질의 농도를 분석파악했다.
조사 대상 유해물질은 모두 64종이다.
대표적으로 중금속(납, 수은, 카드뮴 등) 9종, 프탈레이트 대사체 8종, 환경성 페놀류(비스페놀류, 파라벤류 등) 9종, 담배연기 대사체(코티닌) 1종,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대사체 4종, 농약 대사체 1종,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대사체 2종, 과불화화합물 5종, 잔류성오염물질 25종이다.
환경과학원은 조사 결과, 환경유해물질의 체내 농도는 이전과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감소하거나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중금속 중, 혈액 내 납과 수은 농도는 제1기 기초조사 이후 감소 추세를 보였고, 소변 중 카드뮴은 약간의 변동하는 추세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이 수치는 건강영향 권고값(HBM, Human Biological Monitoring-I)보다 낮은 수준으로 크게 문제는 아니라는 의견이다.
플라스틱 가소제로 사용하는 프탈레이트 중 가장 대표적인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DEHP) 대사체의 소변 중 농도는 1기 기초조사부터 최근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성인에 비해 농도가 다소 높게 나왔다.
이는 나이가 어릴수록 단위 체중당 음식 섭취량과 호흡률이 높고, 장난감을 빨거나 바닥에서 노는 등의 행동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어린이용품 및 활동공간 뿐 아니라 전기·전자제품에서도 프탈레이트류를 사용제한 물질로 추가하는 등 노출저감 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 법 시행으로 사용제한한 DINP, DNOP 어린이용품으로 2013년에 환경보건법 시행됐다.
이어서 DEHP 등 4종 중량기준 제한은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 자원순환법은 2020년, DEHP 등 7종 어린이활동공간 사용 제한한 환경보건법 시행령 역시 2022년에 시행됐다.
제4기부터 조사한 혈청 내 과불화화합물(5종) 중 과불화옥탄술폰산(PFOS)은 성인과 중고등학생에서 모두 감소했다.
과불화옥탄산(PFOA)을 포함한 4종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 중 건강권고값이 제시된 과불화옥탄 술폰산과 과불화옥탄산은 권고값 이하로 확인됐다.
과불화화합물은 인체 내에서 잘 분해되지 않고 장기간 축적되는 물질로 제6기 기초조사(2024~26년)는 12종으로 확대 조사를 추진 중이다.

이번 제5기 기초조사에서 폴리염화비페닐(PCBs 14종), 유기염소계 농약류(OCPs 5종),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 6종) 등 25종의 잔류성오염물질을 새롭게 조사했다.
그 결과, 성인은 폴리염화비페닐 7종, 유기염소계 농약류 4종을, 중고등학생은 폴리염화비페닐 4종, 유기염소계 농약류 2종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산정할 수 있었다.
시민사회측은 "환경부의 이번 조사결과는 절대값이 아닐 뿐더러, 투명하고 전방위로 조사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며 "특히 직업병 관련 산재 관련 10대 제조업, 주거공간, 학교공간 등 범위로 늘려야 보다 정확한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멘트 유해성 논쟁이 식지 않는 가운데, 전국시멘트 범대위 관계자는 "수십년 동안 벌어진 쓰레기 시멘트 제조공장 지대 주민들에게 밀착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며 "지금 조사는 수박 곁핡기식 말 그대로 기초조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린피스, 환경운동연합, 여성환경연대, 환경정의, 녹색연합,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은 날로 유해성 물질에 경각심을 갖도록 기업, 정부 등은 긴밀한 방어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오고 있다.
국회 환노위 소속 의원실 관계자는 "환경부가 친기업 형태로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완화의 범위와 규정을 느슨하게 할 경우, 영풍 석포제련소, 지자체가 운영한 소각장 주변, 시멘트 소성로 등으로 인해 피해를 국민들에게 포집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제3차 잔류성오염 물질관리 기본계획(2021~25)을 통해 인체·생태시료의 감시확대 등 위해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결과는 국가승인통계(106027호)로서 국가통계포털(www.kosis.kr)과 환경통계포털(stat.me.go.kr)을 통해 내년 1월에 공개할 예정이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우리 국민 몸속의 환경유해물질 농도수준은 이전 대비 전반적으로 낮아지거나 유사한 수준이나, 앞으로도 생활주변의 다양한 환경유해물질의 꾸준히 감시로 정보 제공하고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