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회 환노위 소속 4선을 지낸 노웅래 민주당(서울마포갑)이 10일간의 단식농성을 멈췄다.
2일 노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당의 사실상 공천절차가 마무리됐기에 입장을 밝혔다.
노 의원은 "당원투표로 정한 특별당규의 시스템 공천대로였으면 마땅히 줘져야 했을 경선기회를 빼앗겨 단식으로 호소할 수 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다음은 기자회견문이다.
▲노웅래 의원 |
윤석열 검찰독재에 면죄부가 될 수 있는 특별당규 무죄추정 원칙 폐기, 이기는 후보 인위적 배제로 한 석이 결코 한 석이 아닌 전략지역 포기, 너무도 어리석은 결정들이어서 단식농성에 나서야 했다.
현역의원도 예외 없이 경선을 원칙으로 한다는 공천규정을 지켜서 원외후보와 경선을 시켰다면 얼마든지 자연스런 물갈이가 가능함에도, 어떤 지역에선 경쟁력 있는 원외후보들을 원천배제해 현역 단수공천하고, 어떤 지역에선 비정상적 선출직평가, 여론조사로 전략지역화해 현역을 제거하는 인위적 부당공천이 광범위하게 자행되는 상황에 침묵할 수도 없었다.
민주당이 불공정 공천 논란의 여파로 총선에 패배하게 되는 최악의 상황만큼은 막자는 것이 제 단식의 최종 목표였다.
하지만 제 단식에도 불구하고 부당한 공천을 시정하라는 요구에 지도부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 공천 잘되고 있다. 시스템 공천 하고 있다는 거짓 강변만 늘어놨다. 지도부가 이런 상황인식이라면 총선은 필패다. 지도부는 총선에 패배할 경우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사실상 결정이 끝난 제 사안은 그렇다 치더라도, 제 단식을 통해 심사가 남아있던 다른 후보들이라도 구제되기를 바랐는데 그렇지 못했다.
한계를 느꼈다. 공천이 마무리되는 지금 저의 노력은 여기서 멈춘다. 그러나 끝난 게 결코 아니다.
이번 제 22 대 국회의원선거 공천과정을 통해 우리 당이 자랑하는 공천시스템에도 허점이 있었고, 그 허점을 악용하면 시스템이 변질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그래서 저의 향후 정치행보와 무관하게, 무너진 공천시스템 바로세우기와 다시는 특정인이 공천을 좌지우지 할 수 없도록 제도화하는데 앞장서는 일을 정치하는 동안의 최대 과업으로 삼을 것.
앞으로 구체적으로 나아갈 길은, 조금 시간을 가지고 몸을 추스르고 마음을 가다듬어 결정하려 한다. 민주당 내에서 부당한 공천이 공공연히 자행됐고, 실망을 넘어 절망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4월 총선에서 반드시 무도한 윤석열 정권을 심판해야하는 시대적 요구 또한 분명하다. 단식하는 내내 고뇌하지 않을 수 없었던 대목이다.
저는 정치인생 평생 민주주의와 을 편에 서서 민주당 정신을 지켜왔다. 한번도 계파에 눈치보는 정치 하지 않았고, 손해가 있더라도 대의를 따르는 소신의 정치 해왔다. 이런 바탕 위에서 최선의 길을 찾을 생각이다. 걱정해주시고, 격려해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2024. 3.2. 노웅래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