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데일리 온라인팀] 환경부(장관 윤성규)가 전국 각 곳의 환경통계와 정책자료 등의 정보를 지도화하여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을 구축, 6일부터 관련 사이트(www.eais.me.go.kr)를 통해 공개한다.
이번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이 제공하는 환경 주제도는 자연, 물, 기후대기, 생활환경, 기초지리 등 5개 분야 총 25종으로, 자연환경보전지역, 수질보호규제지역 등 규제 정보를 담은 주제도와 생태계 교란생물과 멸종위기종에 대한 발견 빈도를 나타낸 주제도가 있다. 또한, 초미세먼지(PM10) 배출원별 배출량, 일반폐기물 발생 및 처리와 같은 생활환경과 관련된 주제도 등도 있다.
이들 주제도는 각각의 세부 주제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지도뿐만 아니라 지도의 의미, 작성 방법, 자료 출처 등 지도에 대한 설명과 함께 관련 통계 및 그래프 등이 함께 제공된다. 또한, 웹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해 거리 측정, 위치 검색, 지역별 탐색, 배경지도 변환 등을 지원한다.
환경부는 이번에 제공하는 주제도에 이어 올해 말까지 추가로 유해 야생동물 피해 지역 현황, 오존 경보 및 주의보 발령 현황, 산업단지 별 화학물질 배출량 등 10종의 주제도를 추가할 예정이다. 2016년에는 사용자의 의견을 수렴·보완하여 로드킬 지도, 비점오염 현황 등 민간 및 정책 수요가 높은 주제도를 지속적으로 추가 제작할 계획이다.
백규석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은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은 환경정보의 제공과 활용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릴 수 있는 공간정보 활용 플랫폼"이라며 "앞으로 사용자가 참여하는 다양한 정보 생성과 이를 통한 환경가치 실현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