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 안병옥 공동단장 참석, 국민 대타협 밝혀
이해관계 의견 적극 수렴, 맑은 공기 찾기 목적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미세먼지 해결책을 찾기 위한 대통령 직속기구인 범국가 기구 설립을 위한 현판식이 오늘(4월1일) 가졌다.
이자리에는 김숙, 안병옥 공동단장을 비롯 환경부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오피시아빌딩에서 현판을 가지고 공식 출범했다.
김숙, 안병옥 미세먼지 법국가 기구 설립추진단 공동단장은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범국가기구'는 4월 중에 공식적인 조속한 출범에 따른 설립규정 제정을 비롯해 위원 후보자 선정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안병옥 단장은 "미세먼지 줄이기 위한 해법은 온 국민들이 해결사 역할로 참여해주셔야 가능하다."라며 "앞으로 정부, 산업계, 학계, 시민사회 등 각계의 참여 속에 다양한 아디이어들이 나오면 이를 취합해 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적극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민적인 염원을 담아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과정에서 정책으로 만들어가는데 대통령이나 정부가 법적 구속력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우린 믿고 있다."라며 "국민들이 행동을 통해 미세먼지 줄이기 실천으로 국민제안, 국민행동, 과학기반으로 차질없이 만들어가겠다."고 협력의 당부도 잊지 않았다.
미세먼저 해결 범정부 기구는 미세먼지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동북아시아 지역과도 협력 방안을 강구해 우리 실정에 맞는 해법을 모색해 나가게 된다. 미세먼지 해결 범국가기구의 본회의는 각계를 대표하는 위원 약 30~40명으로 꾸려진다.
범정부 기구 본회의 구조는 미세먼지 저감, 피해예방, 과학기술, 국제협력 등의 분야(과)별 회의체를 별도로 둔다.
범국가기구는 늦어도 5월 전까지 일반 국민들을 통해 약 500명의 '국민정책참여단(가칭)'을 운영해 논의 과정에서 국민 의견이 반영되도록 할 방침이다.
벽이 없는 다각화된 다양성을 위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은 물론 전문적인 논의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외 석학급 인사들로 구성된 자문단도 꾸려진다.
설립추진단을 이끌 핵심인사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김숙 전 유엔대사와 안병옥 환경부 전 차관이 공동단장을 맡았다.
이 단장의 구성에는 크게 해외 외교적인 채널강화 차원에서 김숙 전 유엔대사를 국내 민간시민단체와 소통 채널로 문재인 정부의 초대 환경부 차관인 안병옥 단장을 각각 포진한 것으로 이채롭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설립추진단은 정식적인 활동은 범정부 기구가 대외적으로 인력 등이 제정 등이 구축되면 앞으로 가장 바쁘게 움직이게 될 것"이라면서 "벌써부터 국민들이 다양한 의견이나 제언, 참여방법등을 물어오고 있어 내부에서도 기대감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