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산조정계수 재산정 한전 적자 보전 때문 아냐 해명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일부 발전사의 적자 발생은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정책과 탈석탄 기조 때문이라는 일부 언론보도가 한전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이들 언론들은 한전의 적자 폭이 커지자 5개 발전자회사의 이익을 줄이는 방향으로 정산조정계수를 조정했기 때문이라고 왜곡 보도했다.
이와 관련, 한전의 곧바로 입장을 내놨다. 먼저, 보도된 내용처럼 정산조정계수 재산정은 한전 적자 보전 때문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정산조정계수는 전력거래소에서 '산정 기준'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2018년 정산조정계수 재산정은 기준에 따라 8월, 11월 2차례 시행했고 이에 따른 재산정한 사유는 에너지가 상승으로 인한 연료비 급등 등이 원인이며 한전의 적자 폭을 줄이기 위해서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한전이 이에 대한 근거로 비용평가 세부운영 규정에 대해 설명했다.
조정계수는 연 1회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연료가격의 급격한 변동, 전기요금의 조정, 시장제도 변경 등의 예측할 수 없는 사유가 발생하거나, 조정계수 산정을 위한 전망 자료 등이 실적과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 경우 분기 단위로 조정계수를 재산정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억지의 보도는 한전이 마치 탈원전 정책에 왜곡된 현 상황을 피해가려는 것과 또 하나는 적자 가능성을 미리 발전자회사로 떠넘기는 듯한 것은 아니며 국가 유가 등락에 따라 매출액, 영업익이 달라지는 점은 먼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