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도시 제1회 환경교육도시 포럼
부산, 제주, 수원, 시흥, 광명, 창원, 통영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환경부, 수원특례시, 국가환경교육센터가 함께 2024년도 지자체 환경교육 발전 방향을 찾는다.
16일 오후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환경교육도시 토론회(포럼)'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받은 13개 지자체가 참여하며, 지역 주도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구체화 방안을 논의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한다.
2022년 지정은 인천광역시, 경기도, 도봉구, 용인시, 안산시, 서산시가 됐다. 올해는 부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수원시, 시흥시, 광명시, 창원시, 통영시가 지정됐다.
아울러 지역의 탄소중립 및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역별 특화사업 발굴 및 확대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도 참여한다.
먼저 이재준 수원시장이 '탄소중립 위한 환경교육도시 수원 역할' 주제로 지역 환경교육을 통해 친환경도시를 만들어가는 전략과 포부에 대해 기조강연을 한다.
김남수 국토환경연구원 부원장은 지역 대상의 다양한 실험과 도시 전체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환경교육도시의 역할과 과제를 제안한다.
발제는 ▲안산시 상호문화 환경교육 계획 수립사례 ▲용인시 환경교육사 배치 생태학교 운영 사례 ▲구민 실천 마일리지 제도 연계 도봉구 제로씨(Zero-C, 도봉형 탄소중립 실천 촉진자) 양성 사례 등 환경교육도시 우수사례가 공유된다.
이어서 김인호 국가환경교육센터장이 사회를 맡아 '탄소중립 위한 환경교육도시의 지향점'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이 펼쳐진다.
패널 발제는 ▲평생학습도시 통해 배우다'(나사렛대 양은아 교수) ▲탄소중립 위한 환경교육도시 도약(KEI 박창석 실장) ▲환경교육도시 운영 내실화 위한 평가체계(한국환경교육연구소 정수정 소장)이 나섰다.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이번 토론회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환경교육도시의 역할과 과제를 확인하기 위한 자리"라며 "지역 환경교육 활성화에 한 걸음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