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데일리 최진경 기자]국내 건축, 구조전문가들이 잦은 지진에 따른 모든 건축물에 대한 내진성능과 관련 연관성을 빅데이터로 분석해 잡았다.
이번 분석은 대한토목학회가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일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모든 건축설계, 건물구조와 관련 논문의 저자들의 강조해온 연구주제어 연관 관계를 분석했다.
이를 취합한 연결 중심성이 높은 연구주제어와 동출현 관계를 보인 연구주제어의 네트워크를 마련했다.
아래 중심 연구주제어 및 연관 연구주제어 관계도 그림에서 나타난 것처럼 노드의 색깔이 붉어질수록 근접 중심성이, 노드의 크기가 커질수록 연결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링크의 선 색깔이 진해질수록 동시에 출현한 횟수가 높음을 의미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내진성능은 34개 키워드와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고 추가적인 밝혔다.
따라서 어느 부문이 기술적인 취약과 설계상 취약, 설비 시공에 대한 취약이 그대로 그래픽으로 나타났다.
![]() |
▲중심 키워드 및 연관 관계도 |
키워드 명을 보면,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축으로 보-기둥접합부,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좌굴방지가새, CFRP Rod, 개선방안, 보강,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Lap spliced tie, Pilotibuilding, Rectangular column, Shaking table test, U-shaped tie, 강봉댐퍼, 내진보강, 모멘트골조, 무-용접, 바닥슬래브, 반복하중, 소성전단힌지, 에너지소산능력, 역V형, 연성강봉, 전단연결재, 접합부, 철골모멘트골조, 취성파괴, 타일 detail,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순환굵은골재, 점탄성감쇠기, 하이브리드강섬유, Shear strength of masonry, 조적조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