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 공동 연구, 텃밭활동 학생들 인성과 자아존중감 큰 도움
폭력 게임 노출 아이들 식물 기르기에 눈빛 달라져 교우 개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학교 텃밭 스쿨가드닝으로 학교생활 활기
![]() |
▲2013년도 학교 텃밭 최우수상을 수상한 충남 천안 봉명초교 재학생들이 텃밭가꾸기 참여를 하고 있는 모습 제공 텃밭 가꾸기로 녹색 학교 만드는 천안 봉명초등학교 © 환경데일리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서울시 장충동 충무초등학교가 2013년 7월 학교 텃밭 발대식에서 흥미로운 선언을 했다.
선언문을 내용을 보면, 텃밭체험교육은 올바른 식생활 습과 형성, 사회성, 창의성과 인격을 함양한다고 돼있다.
특히 아이들이 텃밭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생명에 대한 소중함 경외심을 가질 수 있다고 자연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방법도 터득하게 된다고 명시돼 있다.
어른이 몰랐던 사실 하나, 학교 생활중 가장 재미있는 수업은 무엇인지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이구동성으로 텃밭가꾸기라고 주저없이 말한다.
그럼 좀더 재미있고 보람있는 학교 텃밭 만들기, 어떻게 무엇을 더 신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
| ▲텃밭가꾸기 일정 내용 © 환경데일리 |
최근 농진청이 개발한 스쿨가드닝 매뉴얼이 전국 초등학교에 배급될 것으로 보여 관심이 끌고 있다.
2016년도 새 봄학기를 맞아 계획한 학교 텃밭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농촌진흥청에서 만든 스쿨가드닝 매뉴얼을 활용해보자.
농진청은 학생과 선생님이 함께 만들 수 있는 학교 텃밭 재배 설명서 스쿨가드닝 매뉴얼 시리즈 7종을 소개했다. 스쿨 가드닝 매뉴얼 시리즈는 선생님과 학생들이 학교 텃밭을 가꾸면서 생기는 궁금한 점이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텃밭 재배 설명서다.
스쿨가드닝 매뉴얼 시리즈는 스쿨가든 A to Z, 열매채소, 잎채소, 뿌리채소, 김치채소, 허브, 식량작물 총 7권으로 구성돼 있다.
![]()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동아대학교가 공동 연구해 발간한 스쿨가드닝 매뉴얼 시리즈 7종 © 환경데일리 |
학교 텃밭에서 많이 이용하는 작물의 씨앗 심기부터 수확까지의 과정을 사진 중심으로 구성해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다. 학교 활용도를 높이고자 학기 중심으로 재배 일정을 제시했고, 작물별로 재배하기 쉬운 정도와 실내 재배 가능 여부도 표시했다.
또한, 작물 재배 시 할 수 있는 관찰 활동, 수확물로 하는 수공예와 요리 체험으로 텃밭 활동을 보다 풍성하게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학교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활동은 학생과 선생님, 학생과 학생 사이를 돈독하게 해주고, 식물을 가꾸고 돌보는 과정에서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에 대한 흥미를 키울 수 있다.
![]() |
▲스쿨가드닝 매뉴얼 시리즈에 실린 내용에는 감자의 경우 씨뿌리기에서부터 감자의 다양한 종자 이야기, 가꾸는 방법과 수확방법 등 자세하게 나열돼 있다. © 환경데일리 |
농진청과 동국대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텃밭활동은 학생들의 인성과 자아존중감, 학업 흥미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폭력적인 게임에 많이 노출된 아이들이 식물 기르기에 정성을 쏟으면서 눈빛이 달라지고 교우 관계가 개선됐다고 전했다.
텃밭 활동을 한 학생 중에 '먹지 않는 채소가 있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약 24%였는데, 텃밭 활동 후에는 이 중 66%가 '먹지 않는 채소가 없다'라고 응답해 학교 텃밭이 식생활 개선에도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학교 텃밭을 조성한다면, 책자 '스쿨가든 A to Z'를 참고해 학교 텃밭 구성 요소를 먼저 확인한다.
텃밭을 조성할 수 있는 장소를 찾아 작물을 재배할 공간을 확보하고, 관수 시설, 퇴비장, 농기구 보관함, 통로, 휴식·활동 공간 등을 마련한다.
![]() |
| ▲학교 텃밭 가꾸기 활동일지 일부 © 환경데일리 |
올해 어떤 작물을 키울지 계획하고, 학교 텃밭의 목적에 맞게 텃밭을 디자인한다. 씨앗을 심을지, 모종을 심을지 결정해서 미리 준비해야 한다.
작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밑거름도 미리 넣어주고 이랑과 고랑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텃밭 농사를 준비한다. 감자처럼 3월쯤 심을 수 있는 작물을 선택한다면 텃밭 농사를 바로 시작할 수 있다.
스쿨가드닝 매뉴얼 시리즈는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http://lib.rda.go.kr)에서 PDF 형태로 원문 보기가 가능할 예정이다.
또한, 농업과학기술도서 출판 사이트 농서남북(http://pod.rda.go.kr)을 통해 책자를 구입할 수 있다.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장윤아 농업연구사는 "학교 텃밭에 관심 있는 학생과 선생님이 스쿨가드닝 매뉴얼을 보면서 텃밭 재배 시 궁금하거나 어려운 점을 해결함으로써 더욱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생태정원 가꾸기 학교'로 지정된 학교는 옥상 녹화, 유휴 공간 활용 등으로 환경교육시설을 구비하고, 학교 텃밭과 숲을 조성해 꽃을 가꾸며 다양한 꽃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문의 농진청 도시농업과장 박동금, 도시농업과 장윤아 063-238-6941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