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사업 생태계 및 미래 에너지 시장 주도
울산테크노파크, UNIST,지멘스,엔텔스 등 8개사
[환경데일리 최진경 기자]KEPCO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은 17일 울산시청에서 울산시, 울산테크노파크, UNIST, 지멘스(주) 등 8개 기관 및 기업이 '에너지 분야 사업협력 추진'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P2G(Power-to-Gas) 기반 KEPCO 마이크로그리드와 스마트 빌딩 구축 실증사업의 상호 협력이 목적이다.
MOU 참여하는 곳은 P2G 기반 KEPCO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실증사업에 한전, 울산시, 울산테크노파크, ㈜이엠솔루션, 엘켐텍, 그리고 스마트빌딩(Smart Building) 구축 사업은 한전, 울산시, UNIST(울산과학기술원), 지멘스(주), 엔텔스사다.
P2G 기반 KEPCO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실증사업은 울산 테크노 산업단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의 여유 전력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생산된 수소를 수소차 연료로 사용하거나 연료전지를 통해 주변 빌딩, 아파트 등에 전기, 열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프로젝트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에 구축 예정인 한전형 스마트 빌딩 구축 실증사업은 K-SEM을 기반으로 보안·공조·주차 등을 통합 관제할 수 있는 신개념 제로 에너지 빌딩 사업이다.
이로써 개별로 관리되는 시스템을 통합 구축비용을 절감하고 건물별 에너지 효율 향상, 수요자원 관리 및 개별 기기의 고장까지 예측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날 체결식에서 김종갑 한전 사장은 "한전은 이번 실증 사업을 통해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국가비전인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 도약 달성에 이바지하고, 에너지 수요관리 혁신을 통한 고효율 에너지 사회 구현에 초석이 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용어설명
P2G(Power-to-Gas) 기술 : 전력(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등)을 이용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H2)를 생산·저장 하거나, 생산된 수소와 CO2를 결합, 메탄(CH4)로 전환해 수송, 발전 및 도시가스 등 연료로 활용하는 전력가스화 기술. P2G기반 KEPCO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사업은 수전해 설비를 활용,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수소로 변환할 예정이며, 메탄가스로 전환하는 기술은 적용되지 않는다.
마이크로그리드 : 소규모 지역에서 전력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작은 단위의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으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원과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융복합된 소규모 시스템이다.
K-SEMKepco Smart Energy Management) : 한전에서 자체 개발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새로운 브랜드 이름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