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사 건립 논의 20여 년 만에 토대 마련
기금 500억 적립, 시민중심 청사 건립 최선
인구 105만 위상 맞게 친환경 신청사 필요"
현 위치 건립고수 vs 새로운 부지 건립 팽팽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고양시민들의 사랑방이 될 고양시 신청사 건립을 놓고 기존 청사 주변 토우세력과, 이전을 희망하는 주민들과 갈등이 나오고 있다.
현재 고양시청가 위치한 덕양구 주교동 일대 주민들은 83년에 터를 잡아 온 고양시의 역사를 볼 때, 현재의 위치에서 재건립해야 마땅하다고 반기를 들고 있다.
신청사 이전 건립 반대측은 고양시청 주변 집성촌 형태로 이루면 시청을 상대로 장사를 해온 이들, 토지를 소유한 토우세력이다.
최성시장 시절 전 시 간부는 "시청 건물이 수용의 한계성과 건물 노후화와 원도심이 낙후로 시청 청사 주변까지 오랜 침체기를 발목이 묻혀 있다."라며 "이제는 사통팔달과 건립비용이 최소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전에 시민들에게 더욱 접근성과 편리성을 주는 신청사 건립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시청 부지에서 새로운 신청사 건립이 마땅하다는 의견이 만만치 않다.
20년 넘게 부동산업을 종사해온 김 모 대표는 "주교동은 토당동과 함께 도시재생과 재건축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현재 청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태동이 필요하다."고 반대 입장을 냈다.
송유근 고양시의원은 "현재 5곳이 시청사 건립부지로 후보군에 잡혀 있는데, 확실하게 어디라고 지적할 순 없지만, 분명한 것은 105만 시민들이 접근성, 4차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건물이 부합돼야 좀 더 빠른 시민봉사와 수준 높은 행정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양시는 105만 광역행정과 평화경제특별시 균형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신청사의 건립 재원 확보를 위해 건립 기금 500억 원을 적립했다.
현재의 청사는 1983년 준공돼 사무 공간이 부족해 현재 시청 주변 여러 곳의 건물을 임차해 사용한 실정이다.
40여 개 부서가 분산돼 있어 민원인들이 담당 부서를 찾지 못해 불편을 겪고 있고, 공간이 협소해 시민들과의 소통공간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36년 된 청사는 노후화로 인해 2003년 정밀안전진단 결과 D등급을 받았다. 지난 3년간 유지보수 비용으로만 27억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되는 등 신청사 건립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논의돼 왔다.
고양시 기획재정 관계자는 "지금까지 막대한 건립비용도 문제지만 우선적인 더 이상 청사의 기능이 떨어져 이를 극복한 시민들의 지혜와 새로운 신청사 건립 염원이 큰 만큼 더 미룰 순 없다."고 말했다.
시는 이재준 시장 체제에서 이런 문제의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3월 '신청사 건립기금 조례'를 제정했다. 시의원 및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금 심의위원회에서 정한 2019년도 건립기금 운용계획을 통해 이번 제1회 추경에 건립 기금 500억 원을 적립해 신청사 건립에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
이재준 시장은 "신청사 건립에 앞으로 많은 행정절차가 남아있지만 이번에 건립 기금을 적립한 것을 시작으로, 시민의 입장에서 인구 105만 대도시의 위상에 걸맞은 미래지향적이고 상징적인 친환경 신청사를 만들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