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석신소재연구소, 철강협회,시멘트협회
석유화학협회, 한국선급, 설비 구축 노력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산업계의 대표적인 단체인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 한국철강협회, 한국시멘트협회, 한국석유화학협회, 한국선급이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한 목소리를 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관으로 '산업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기술전략포럼'에서 최근 밝혔다.
이 포럼은 산업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산업계 현황을 공유하고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기술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번 포럼에는산·학·연·관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등 약 350명이 참석했다.
먼저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는 시멘트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 저감을 위한 저질소산화물(NOx) 버너 설치, 선택적 비촉매 환원법(SNCR) 적용 등 시멘트 업계의 미세먼지 저감 노력을 공유하는 한편, 질소산화물(NOx) 저감 효율 제고를 위한 당면 기술 과제를 공유했다.
하지만, 문제가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시멘트 업계는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국내 유통되는 모든 시멘트 성분 중에는 카드뮴, 비소 등 중금속이 기준치에 근접할 정도로 함유된 채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철강협회는 철강공정 특성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 현황을 소개하는 한편,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한 환경방지시설 투자비 확대, 노후방지시설 교체, 공정개선, 녹지대 조성 등 철강업계의 미세먼지 배출 저감 노력을 공유했다. 그동안 철강업계는 생산과정에서 초미세먼지 배출과 폐수 등에 대한 투명한 처리에 다소 느슨한 편이다.
한국석유화학협회는 석유화학산업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과 함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환경부와의 자발적 협약에 따른 비상저감조치 실시, 축열식 소각로(RTO) 신규 추가 설치 등 업계의 자발적인 미세먼지 저감 노력을 소개했다.
한국선급은 해운항만의 미세먼지 배출현황 및 관련 대책을 소개하는 한편, 선박 배출 배기가스 동시저감 기술개발 및 상용화 등 선박 배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 진행도 공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산업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생기원의 역할과 관련,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원인물질 저감을 위한기술 개발 노력을 발표했다.
특히,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촉매, 필터, 흡수, 연소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다량배출되고 있는 업종별(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 공장에서 실증함으로서 제조업 미세먼지 감축에 노력해왔다.
그 결과, 기술개발 단계 부터 생산공정까지 발생할 수 있는 온실가스 증가, 생산품질 저하 등의 부작용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서 미세먼지 감축기술의 현장 적용성 제고를 위해 힘써왔다고 밝혔다.
공장에서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감축하는 개별 기술과 공정들이 하나의 프로세스로 연결돼 있는 만큼, 개별 기술들 간의 상호 영향을 면밀히 검토한 실용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유정열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산업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미세먼지 배출 저감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산업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은 산업현장의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해 관련 기술 개발 지원과 산학와의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