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와 고양교육지원청은 지난 8일 경기도교육청에 '경기형 과학고' 공모신청서를 제출했다.
시는 지역특색을 반영해 한 분야에 집중하는 지역특화형 '경기형 과학고' 공모신청서에 산업적·인문사회적 인프라를 바탕으로 설립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시는 경기북부 최초 대덕드론비행장, 국내 최대 드론앵커센터을 기반으로 한 고양드론밸리 조성 등 드론‧UAM 산업 집중육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일산 테크노밸리, 바이오정밀의료 클러스터, 차세대 모빌리티 등 첨단 4차 산업기반이 갖춰져 있다.
아울러 우수한 광역교통망으로, 인천국제공항, 김포공항은 물론 한국항공대가 위치한 지역적 이점을 바탕으로 과학고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과학고 설립 시민 설문조사 결과 특색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중요하다는 시민 의견도 반영했다.
과학고 설립 시민 설문조사에서는 참여인원 7579명 중 94%(7147명)이 과학고 유치를 희망했다. 시는 발사체, 인공위성, 미래 모빌리티 등 최신 우주항공산업 트렌드를 반영한 커리큘럼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고양시의 첨단산업 기반의 산학연 연계 교육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 과학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이동환 시장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발맞춰 미래 우주항공산업을 이끌어갈 과학 인재 양성이 필수"이라면서 "전문화 차별화된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위해 청소년기부터 교육을 제공할 특화된 과학고가 꼭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기존의 과학고와는 차별화된 글로벌 미래 과학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고양우주항공 과학고를 설립을 위해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교육청은 경기형 과학고 신규지정은 11월말 1단계 예비지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환경데일리 = 문종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