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건물, 등기 하나로 부동산종합증명서 온라인 발급 가능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 환경, 에너지, 식품, 바다, 안전, 치안, 국토, 물관리 등 모두를 하나로 묶어 통합하는 행정서비스 등장한다.
국민을 위한 공간정보 대표 행정서비스, 대국민 포털이 모두 모였다
현재 위치정보기반의 IOT, O2O산업이나 무인자동차 기술 등이 고도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거의 모든 생활에서 공간정보는 필수 참조 요소가 되고 있다. 이와 때를 같이해 15일 스마트국토엑스포에서 국가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청사진이 공개됐다.
국토교통부는 국내유일 공간정보 전시행사인 스마트국토엑스포에서국가공간정보 관리체계 개편을 위한 설명회를 성료하고 국가공간정보를 활용하는 46개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 실무자들과 공간정보관리 및 활용변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 |
▲ © 환경데일리 |
김선태 국토정보정책관은 인사말에서 "현재 선도적 공간정보정책의 실현으로 인문, 경제, 사회, 문화,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공간정보 융복합이 이루어지는 시대"라며 "이는 신규일자리, 사업기회 창출과도 직결되는 일이다"고 말했다.
2016년부터 본격화 되는 국가공간정보 변화는 4가지로 ▲양방향 실시간 공간정보 연계로 정책 지원 ▲국가공간정보포털로 공간정보 활용 사업기회 및 일자리 창출 ▲토지, 건물, 등기를 한 종으로 보는 부동산종합증명서 온라인 발급 ▲온나라 부동산 통합포털의 디지털지도 기반 국가부동산정보서비스 제공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가공간정보 관리체계 효율화 정책과 관련, "이제 공간상의 융합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면 사회안전망과 같은 중대한 정책적 의사결정이 어려운 시대가 됐다"며 "공간정보를 이용하는 개개인은 공공시설과 같은 공간정보를 언제든 쉽게 꺼내 민간의 경험이 융합 된 신규서비스를 만들 수도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앞으로 자연스레 정확한 공공정보와 실시간의 민간정보가 융합돼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데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까지 공간정보센터를 통해 응답 혹은 조사 된 바에 의하면 103개 기관 637종 업무(공공57,민간 46개)가 공간정보를 열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공간정보 관리체계 효율화에 따른 추진현황은 3대 추진방향을 확인하고 첫 스텝으로 동일정보 갱신 시점 일치를 위한 공간정보 데이터셋 연계방안이다.
3대 방향은 국가공간정보 관리체계 개편에 의한 ▲국가공간정보 통합데이터셋 정책적 지원 ▲66개 기관과 양방향 정보제공 ▲포털 통한 민간개방을 중점 추진하고 이를 위해 우선 2016년부터 제공하는 토지, 건물, 가격 데이터셋의 연계기관 조회, 제공방식을 갖추게 된다.
온나라 부동산 통합포털은 연내 온나라3.0 오픈에 앞서 국민이 보기 편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였다. 전국의 분양정보, 접수.발표 캘린더등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17개 시도의 부동산민원을 어디서나 온나라 한 곳에서 할 수 있게 했다. 현재 진행 중인 국가공간정보관리체계개편을 적용해 최신정보 확인이 미진했던 부분도 개선한다.
이날 국가공간정보 통합포털의 향후 모습을 보여주는 프로토타입 공개에서는 다양한 기관 간 양방향 연계된 공간정보를 실시간 다운로드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도 기반 매쉬업 정보의 상품성을 높여 오픈마켓 거래가 활성화 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공간정보 관리기관의 공간정보를 찾기 쉽도록 2만여건의 표준화 된 목록이 공공의 토지, 지형, 산림정보나 민간의 관광/문화 등의 테마로 구분했다.
공간정보의 대표포털답게 온나라 부동산 통합포털이나 브이월드의 최신정보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부동산정보를 활용하는 전문가, 공간정보앱 등의 개발에 관심이 있는 일반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국가가 만든 정보는 접근자체가 까다롭거나 개인의 활용환경과 안 맞아서 무용지물인 경우가 많았다"며 "정확한 위치정보를 가진 국가공간정보의 사회적 필요성이 커지는 지금은 누구나 가공이 용이한 환경까지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에는 경찰청, 국민안전처, 국방부, 국토교통부, 문화재청, 산림청,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강홍수통제소,해양수산부, 행정자치부, 환경부 등 참여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