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co '실내 라돈 고농도 건물 저감사업'중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다가오는 겨울(동절기)에 실내오염물질 중 하나인 라돈으로 사망자가 대기오염물질보다 높다. 이는 WHO 세계보건기구가 밝힌 내용이다. 라돈은 새벽시간대에 가장 많이 분출(농도)되고, 계절별로는 한 겨울이 더 위험하다. 이유는 기온이 떨어져 춥다는 이유로 환기를 잘 안하기 때문이다.
1급 발암물질 '라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제거 등을 위해 지자체 지원한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동진)은 지자체 라돈관리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11월부터 1년간 전북지역 주택 3000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조사를 추진한다.
이번 조사는 국립환경과학원이 2011~18년까지 실시한 전국주택 실내라돈 선행조사 결과와 라돈 농도 수준 및 지역별 지질특성 등을 고려해 선정된 강원, 전북, 대전, 충북, 충남, 전남, 경북 등 7개 지자체의 맞춤형 라돈관리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올겨울은 전북지역 라돈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실내라돈 조사를 시작한다. 현재 강원, 대전시, 충남도는 라돈관리 계획을 시행중이고, 충북도는 지질 특성 조사를 착수했다.
지난 선행조사(2011~2018년) 결과, 라돈 농도가 높았던 전북 완주군 약 1000가구를 비롯해 전북지역 13개 시군 별로 150여 가구씩 라돈 분포를 확인한다.
또한, 일부 세대에 대해 계절별 실내라돈 농도 변화를 파악하는 한편, 주택 건축연도, 환기 습관 등 생활환경요인과 토양·암석 등 지질학적 영향인자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해 지역 특성이 반영된 라돈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은 신뢰성 있는 조사를 위해 대상가구를 직접 가가호호 방문해 실내 및 주변 여건을 고려한 검출기 설치 및 설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대상 가구는 10월 17일부터 조사원이 사전연락을 실시할 예정이며, 대면조사를 원치 않는 가구는 유선 등을 통해 비대면 조사로 대체할 수 있다.
전북지역 겨울철 실내라돈농도 조사결과는 내년 하반기에 각 세대로 등기발송되며, 지자체에서 라돈관리계획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
▲전국 라돈물질 분포도. 베터라이프 발췌 |
실내 라돈 농도가 높은 주택은 지자체의 관리계획 수립 전에 라돈 저감 시설 설치 및 알람기 보급을 지원받을 수 있다.
그외 K-eco 한국환경공단의 '실내 라돈 고농도 건물 저감사업'은 현재까지 약 5000가구 조사 결과, 권고기준을 초과한 713가구 중 445가구를 지원했다.
라돈물질 측정 및 환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베터라이프 관계자는 "라돈물질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건 사실"이라며 "실내마감재, 콘크리트 등에서 나오는 발암성 물질에 더욱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은 "라돈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지질 특성 등을 반영한 라돈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며 "이번 실내 라돈 조사는 전북지역의 라돈 관리계획의 기초자료가 될 예정이므로 관심을 가지고 조사에 참여해 주시길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