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정문 출입 위치 놓고 시대착오적 신경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 해체연구소 설립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 부분이 없다고 12일 했다.
이같은 배경에는 국내 한 언론보도에 적극 해명하면서 자칫 지자체간 유치 과열을 우려한 잠재우기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탈핵 정책에 따라, 영구폐쇄된 고리1호기 등 후속 조치로 원자로 철거해체 전문 연구기관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13일 경북도 경주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2400억 원 규모의 원전해체연구소가 부산, 울산 접경에 짓는다는 보도에 대해 잘못된 보도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국내 일간지는 원전해체연구소 입지가 부산과 울산 경계지역으로 사실상 내정됐다고 물타기로 여론을 몰아갔다.
사실상 연구소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에 경계에 설립될 예정이다고 했다.
아이러니한 점은 두 지자체가 원전헤체연구소 정문 출입구 위치가 어느 지자체로 향해 세우는 지까지 시대착오적인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현재 원천해체연구소 설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한수원을 비롯 산자부, 경주시, 부산시, 울산시 3개 자자체와 두산중공업,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민간기업 등이 참여 자격으로 지분 비율을 조정중이라고 마치 확정된 것처럼 보도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자체 해명자료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과 관련 후보지역과 규모, 방식 등 다양하게 검토 중이지만 아직 결정된 바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언론에서 너무 앞서 보도"라며 "우리 부처는 지역 의견 수렴은 물론 참여 희망 민간기업 등과 충분한 논의를 걸쳐 늦어도 올해 정리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