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종이 및 화장지류 등 멸균팩 구축 기여
임상준 차관 "멸균팩 고부가 자원으로 재탄생"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멸균팩 재활용을 위해 손 잡았다.
환경부는 멸균팩 재활용업계와 23일 로얄호텔서울에서 '멸균팩 자원순환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임상준 차관, 한철규 한솔제지㈜ 대표, 정창석 ㈜쌍용씨앤비(C&B) 대표, 김동진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이사장이 참석했다.
멸균팩(펄프, 합성수지, 알루미늄으로 만든 주스팩 등)은 일반 살균팩(펄프와 합성수지로 만든 우유팩 등)과 달리 내부의 공기 차단을 위해 알루미늄 막이 한 겹 더 있는 구조를 지닌다. 주스 등 내용물의 상온 보관이 쉽다는 이유로 최근 출고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만 멸균팩은 복합재질이어서 살균팩과 함께 재활용되기 어렵고, 별도 수거가 쉽지 않아 자원순환체계 구축에 어려움이 있다.
▲고양특례시는 한국멸균팩재활용협회와 함께 멸균팩 수거강화를 위해 협약까지 체결했다. |
그간 환경부는 멸균팩 분리배출 시범사업, 멸균팩에 재활용 어려움 표시 의무화 등을 통해 재활용성 제고를 유도해 왔다.
이번 재활용업계와 업무협약으로 멸균팩이 고부가가치 종이(백판지)와 위생용품(화장지, 핸드타월)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재활용업계는 멸균팩을 재활용한 백판지와 위생용품의 품질향상에 힘쓰고, 한국포장재재활용공제조합은 많은 업체들이 재활용제품을 사용하도록 판로확보와 홍보에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고급 멸균팩은 100% 자원이 가능하다. |
환경부는 종이류 뿐만 아니라 건축자재 등으로 멸균팩의 재활용방법을 확대하고, 수거방법을 다양화하는 등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 지원과 제도개선에 역량을 집중한다.
KEITI가 주최한 2023년도 대한민국 친환경대전에서 공제조합 회원사인 한솔제지는 멸균팩 재활용 자원화의 다양성을 선보이기도 했다.
임상준 차관은 "이번 협약으로 멸균팩이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재탄생되는 자원순환체계를 구축, 쓰임의 끝에서 다시 자원으로 시작되는 순환경제의 모범사례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
▲국내 주요 선별장에서 놓치기 쉬운 자원들이 일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소각장이나 시멘트제조공장으로 가고 있다.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